소 값 폭락 원인 중에는 소고기 수입개방으로 값싼 외국산이 밀려들어온 것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수입 소고기 때문에 한우고기 소비가 둔화되는 데도 농가에서 사육마리 수를 계속 늘리면서 수급 균형이 깨진 것도 문제다. 전문가들은 한우와 육우의 적정 마리 수를 260만 마리로 보고 있으나 이미 2년 전에 수요를 초과한 뒤에도 매년 급증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다 국제 곡물가 상승으로 사료 가격은 2년 전에 비해 16%나 올랐다. 이 때문에 송아지를 2년 동안 키워서 시장에 내다 팔면 115만원의 손해가 발생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문제는 소 값이 폭락할 수 있는 조짐이 몇 년 전부터 있었음에도 당국의 적절한 대책이 없었다는 것이다. 소고기 수요와 적정 공급량은 어느 선인 지를 정확히 파악하여 농가에 정보를 제공했어야 했다. 수급불균형으로 가격 하락이 예상되는 정보를 제공했는데도 농가에서 수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적극적인 행정지도와 시책이 뒤따라야 함은 말할 것도 없다. 말하자면 마리 수가 계속 늘어날 경우 새끼를 낳을 수 있는 암소를 줄이도록 유도하는 노력 등을 들 수 있다. 유통구조의 불합리성은 더 큰 문제다. 소 값 하락에도 불구하고 음식점의 소고기 가격은 2010년 추석 전후의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식당에서는 한우고기 1인분(120g)에 2만원 내외를 받고 있다. 육우 송아지 가격은 떨어지는데 식당 고기값은 떨어지지 않고 있다. 유통구조를 투명하게 하여 소비자 가격을 낮춰야 한다. 대형 식당을 확산시키는 등 유통구조를 바꾸고 자급사료 확대 등 생산비를 줄이는 데도 힘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