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국회 대정부 질문 첫날, 역사교과서 국정화 격돌

박순원기자
등록일 2015-10-14 02:01 게재일 2015-10-14 3면
스크랩버튼
與 “역사교육 정상화 작업”<bR>野 “국론분열 행위” 맞서

여의도 외부가 선거구획정위원회의 법정시한 초과로 관심을 끌었다면, 13일 열린 국회 정치 분야 대정부질문에서는 정부의 중·고교 역사 교과서 국정화 방침이 논쟁거리였다.

여당은 이념적으로 편향된 기존 교과서를 바로잡는 교육 정상화 작업이라며 정부 방침을 옹호한 반면, 야당은 친일과 독재를 미화하는 시대착오적 발상이자 국론분열 행위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새누리당 이장우 의원은 야당을 향해 “북한을 찬양하고 대한민국을 격하하는 교과서를 그대로 가르치라는 것”이라며 “편향적 이념이 가득한, 사실조차 왜곡하는 교과서를 우리 아이들에게 계속 배우라고 하는 건가”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을 폄훼하고 헌법적 가치를 부정하는 왜곡된 역사교육을 바로잡으려는 `역사교육 정상화 노력`에 반대하는 이유가 무엇인가”라고 따졌다.

같은 당 김태흠 의원은 대안학교의 교과과정 문제점을 거론한 뒤 “학생들이 좌편향된 교과서에 의해 왜곡된 역사관, 부정의 역사관을 갖는 것은 반드시 막아야 한다”고 가세했다. 김 의원은 “300여개 대안학교 중 50여개만 교육부 인가를 받았는데 이들 중 40여개가 이념적으로 편향된 교육을 하며 학생들을 광우병 촛불집회, 정치성 집회에 참여시켜 물의를 빚었다”면서 “친북좌파 사관학교라는 말도 있다”고 주장했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백재현 의원은 박근혜 대통령을 겨냥해 “정권과 정파를 위한 국론분열을 한다”고 비판했다. 또 “국민이 일본의 역사왜곡을 비난하는 것조차 부끄럽도록 한다”며 “`국민통합을 위한 올바른 교과서`라는 용어로 둔갑시킨다고 우리 국민이 속을 것 같나”라고 추궁했다. 같은 당 이찬열 의원도 “많은 국민이 반대 목소리를 내는데도 정부는 친일과 독재의 기록을 삭제하고 미화시키기 위한 역사 왜곡 교과서를 만들려고 한다”며 “일본 아베 정권의 못된 우경화 정책에 따른 역사 왜곡과 무엇이 다른가”라고 했다.

/박순원기자 god02@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