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강성당원 바라기’ 민주 전당대회 막판 승부수

고세리 기자
등록일 2025-07-27 20:11 게재일 2025-07-28 4면
스크랩버튼
개혁 앞세운 鄭 ‘대세론’ 기조 유지  
朴 ‘野 때리기’ 강공 뒤집기 스퍼트
민주당 정청래·박찬대(오른쪽) 당대표 후보가 지난 20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8·2 전당대회 순회 경선 영남권 합동연설회에서 파이팅을 외치며 기념 촬영하고있다. /연합뉴스

8·2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 대표를 둘러싼 정청래·박찬대 의원 간 경쟁이 막판까지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두 후보 모두 강성 당원층의 지지를 두고 ‘개혁 선명성’과 ‘대야 투쟁력’을 강조하며 권리당원 표심을 공략하고 있다.

정청래 후보는 앞서 충청·영남권 권리당원 투표에서 우위를 점한 데 이어 ‘대세 굳히기’ 국면에 들어간 모양새다. 강성 지지층을 중심으로 지지를 공고히 하며 ‘검찰개혁’과 ‘위헌 정당 해산’ 등 개혁 드라이브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 25일에는 검사에 대한 파면을 가능케 하는 내용의 검사징계법·검찰청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하며 강경 행보를 이어갔다.

정 후보는 “검사는 특권계급이 아닌 일반 공무원”이라며 “징계 형평성을 확보해 국민 눈높이에 맞는 조직으로 만들겠다”는 입장이다. 이는 권리당원들 사이에서 ‘검찰개혁 적임자’라는 인식을 강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박찬대 후보는 상대적으로 열세를 보이는 판세를 뒤집기 위해 대야 공세를 강화하고 있다. 초반에는 ‘당·정·대 원팀’ 기조와 협치 메시지를 강조했으나, 최근 들어 ‘윤석열 내란 사태’ 등의 표현을 사용하며 메시지 수위를 높이고 있다. 그는 지난 22일 기자회견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을 인간 방패처럼 감싼 국민의힘 의원 45명에 대한 제명 촉구 결의안을 발의하겠다”고 밝히며 직접적인 대야 공격에 나섰다.

박 후보는 또 윤석열 정부 시절 검찰 수사를 문제 삼아 ‘검찰과거사위원회 설치법’을 제안하는 등 강경 이미지를 부각시키려는 전략을 펴고 있다. 당 안팎에서는 초반 온건 메시지에서 급격히 강경 노선으로 선회한 것이 권리당원들의 주목도를 높이기 위한 선택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이번 전당대회의 남은 변수로는 텃밭인 ‘호남 민심’과 남은 ‘TV토론’이 꼽힌다. 특히 전체 권리당원의 30% 이상이 집중된 호남 지역에서의 표심 향방은 당락을 좌우할 결정적 요소로 평가된다. 당초 전당대회가 지역별 권리당원 투표는 순회 경선 방식으로 예정돼 있었으나, 최근 폭우 피해로 인해 호남·경기·인천 등 주요 권역의 현장 투표 일정이 취소되면서 전당대회 당일 일괄 투표 방식으로 전환됐다. 

이번 당 대표 선거는 △권리당원 투표 55% △대의원 15% △일반 국민 여론조사 30%를 합산해 최종 당선자를 결정한다. TV토론 등 공개 일정에서의 활약이 일반 여론에 직접적으로 반영되는 만큼 후보들의 막판 메시지 전략이 더욱 주목받을 전망이다. 

/고세리기자 ksr1@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