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날세운 야 달래는 여

박순원기자
등록일 2015-11-05 02:01 게재일 2015-11-05 2면
스크랩버튼
“국정화는 원천무효… 규탄대회 열 것”<BR>“정치선동 이제그만… 경제 봐야할 때”

역사교과서 국정화 문제로 여야 관계가 `강(强)대강` 모드로 변화하면서 정가가 극도의 긴장감을 유지하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문재인 대표를 비롯해 `국정교과서 불복종`을 천명하고 나섰으며, 이에 대해 청와대와 새누리당은 `노동개혁·경제살리기`등을 거론하며 야당을 압박했다.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4일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하는 대국민담화를 발표하고, “역사 국정교과서는 한마디로 원천무효”라며 “이제 국민이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해 국민불복종 운동에 나서달라”고 당부했다.

문 대표는 “정부의 역사 국정교과서는 `부실 교과서`”라며 “통상 33단계에 걸처 중등 역사교과서는 보통 3~4년이 걸리는데 남은 1년 4개월 동안 이 단계를 거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또 “11월 2일 자정까지가 법으로 정해진 행정예고기간인데도 불구하고 정부는 그 기간이 끝나기도 전에 확정고시 방침을 발표했다”면서 “역사교과서 국정화 고시 강행은 `명백한 불법행정`이다”라고 밝혔다.

이어 문 대표는 “저와 우리당은 국정교과서를 반대하는 모든 세력을 모아내는 데 앞장서겠다”며 “다른 정당과 정파, 학계와 시민사회가 함께 하는 강력한 연대의 틀을 논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문 대표의 대국민담화와 함께 새정치민주연합은 5일 `국정교과서 저지 네트워크`를 비롯한 학계와 시민사회단체, 다른 야당 등이 함께하는 공동투쟁기구(국민운동본부)를 구성할 예정이다.

아울러 6일에는 서울 종각역 일대에서 문화제 형식의 국정화 규탄집회를 연다는 계획이다.

야당의 이 같은 강경모드에 새누리당은 야당의 반대투쟁을 `반(反)민생행위` `정치선동`으로 규정하고 “집필의 투명성을 담보하겠다”고 달래며 `국회 정상화`를 위한 원내대표 회담을 제안했다.

그러면서 △노동·교육·금융·공공개혁 △경제활성화 및 민생법안 처리 △한중자유무역협정(FTA) 비준 △일자리 창출 등을 위한 국회 본연의 임무를 강조하며 야당의 협조를 거듭 촉구하고 나섰다.

김무성 대표는 이날 당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야당은 제발 국회로 돌아와주길 바란다. 무단결근이 계속되면 고용주인 국민이 용서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고, 원유철 원내대표는 “청년일자리를 창출하는 경제활성화 법안들은 국회에 쌓아두는 장식품이 아니다”고 말했다.

청와대 역시 이날 “경제활성화를 위해 총력을 기울여야 할 때”라며 국회 복귀를 촉구하고 나섰다.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전환 확정에 따른 정국 경색과 관련한 청와대의 입장을 묻는 질문에 “이제는 올바른 교과서를 만드는 일에 국민의 지혜와 힘을 모으고, 가뭄극복 대책과 민생, 한중 자유무역협정(FTA)과 같이 경제활성화를 위해 총력을 기울여야 할 때”라고 밝혔다.

/안재휘기자

ajh-777@kbmaeil.com

/박순원기자

god02@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