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 장학생<BR>연 2명→30명으로 확대<BR>재단 만들어 1억원씩 대출
앞으로 많은 돈을 들여 비행경력을 쌓지 않아도항공기 조종사가 될 수 있도록 조종사 양성 방식이 `선(先) 선발-후(後) 교육`으로 바뀐다.
또 저소득·서민층 자녀들도 `파일럿의 꿈`을 보다 쉽게 이룰 수 있도록 장학금등 지원이 확대된다.
국토교통부는 20일 관계기관 및 항공사 등과 이런 내용이 담긴 `조종인력 양성체계 개선방안`에 협력하기로 업무협약을 맺었다.
현재 항공사들은 자체 조종사를 양성하기보다 조종 자격을 취득한 뒤 일정한 경력을 쌓은 조종사를 선발하는 방식으로 조종사를 충원하고 있다. 앞으로는 항공사가 일정 기준을 충족하는 조종사 훈련생을 선발한 뒤 훈련기관에 이들에 대한 조종사 훈련을 위탁하는 방식으로 바뀐다.
훈련 비용 일부(약 2천만원)를 항공사가 부담하거나 대출 보증 등 방법으로 훈련생 개인의 부담을 덜어준다. 아울러 훈련과정을 학점은행제와 연계해 조종사 훈련을 받으면서 최대 80학점을이수할 수 있도록 지원해 학사 학위도 취득할 수 있도록 돕는다.
항공사들이 인력 양성·수급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도록 우수 항공사에는 슬롯·운수권 배분 시 인센티브를 줄 방침이다.
이와 함께 경제적 어려움으로 조종사의 꿈을 고민하는 저소득층을 위한 지원도 확대한다.
현재 1년에 2명에게 약 7천만원씩 지원하는 저소득층 대상 `하늘장학생` 제도는1년에 30명 수준으로 규모를 확대한다.
아울러 조종사 양성 장학재단을 설립해 저소득층·서민층 자녀 등에게 1인당 약1억원을 대출로 지원한다. 재단은 인천공항공사와 한국공항공사 등이 출연한 60억원으로 출범한 뒤 공기업, 항공사 등으로부터 추가 출연을 받을 계획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