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최재형 여야 대선 주자<br/>주말·휴일 지역에서 표심 공략<br/>李, 안동·대구 거쳐 어제 포항에<br/>신공항·철강산업 등 대책 약속<br/>崔, 박정희 생가·월성원전 찾아<br/>박근혜 사면·탈원전 문제 지적
주말 동안 여야 유력대선주자인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국민의힘 최재형 전 감사원장이 대구·경북을 찾아 동진(東進)전략을 폈다. 이 전 대표는 포항·안동·대구에서, 최 전 원장은 포항과 경주·구미에서 지역 현안 사업과 발전 방향에 대해 각자 차별화된 주장을 펴며 TK표심 공략에 집중했다.
이 전 대표는 8일 포항을 찾아 지역기자들과 간담회를 가진 뒤 포항철강공단 기업체에 들러 지역 민심을 챙겼다. 이 전 대표는 이날 동해안 횡단대교(영일만대교)에 대한 생각을 묻는 질문에 “예전에도 밝힌 바 있듯 영일만대교 건설은 지역발전을 위해 필요하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며 “영일만대교가 건설된다면 관광, 산업 등 포항지역 산업다변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7일 대구 칠성시장을 찾아 장보기 투어를 하는 등 지역 민심을 살폈고, 6일에는 한국노총 인사들을 만났다. 이 전 대표는 대구 칠성시장 상인회장단과 가진 간담회에서 지난해 코로나로 큰 피해를 본 대구 지역에 손실보상법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지적에는 “이번 손실보상은 피해 지원 형식”이라며 “그런 점에서 정부와 지자체 등도 여러 협의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답했다. 이어 6일 한국노총대구지역본부에서 열린 노동정책 간담회에서 “경북지역 주력산업인 철강, 전자 등이 위축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고, 대안 마련과 후속 산업이 준비되는지도 정치권의 숙제”라고 진단하고 해답을 찾아내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 6일 안동 도산서원과 경북유교문화회관을 찾은 자리에서 “우리나라의 정신문화를 이제까지 발흥시키고 전수해준 대구·경북의 유림 어르신들을 뵙고 싶었다. 기회가 닿는다면 독립운동에 헌신하신 유공자들의 흔적도 살피고 싶다”고 전했다. 또 대구·경북 통합 신공항 문제와 관련해 “부산 가덕도 신공항보다 먼저 시작한 만큼 먼저 완공하는 게 순리”라고 언급했다.
최 전 원장 역시 대선 출마 선언 이후 처음으로 대구·경북을 찾아 ‘박근혜 전 대통령 사면’과 ‘대구통합 신공항 특별법’등 현안 이슈로 보수 표심 공략에 시동을 걸었다. 최 전 원장은 지난 7일 경북 경주 월성 원전 1호기와 맞붙어 있는 홍보관을 둘러본 뒤, 현지 마을회관에서 가진 간담회에서 “원전 조기 폐쇄 관련자들이 기소됐는데 문재인 대통령도 책임 있는 말씀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최 원장은 이날 오후 포항죽도시장을 찾아 포항지역 상인연합회원들과 간담회를 갖고 코로나 사태에 따른 영세상인들의 고충을 보듬었다.
최 전 원장은 앞서 지난 6일 TK지역 첫 방문지로 구미의 박정희 전 대통령 생가를 방문, 박정희 전 대통령을 한껏 치켜세웠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지지율 선두권을 달리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을 추격하기 위해 ‘보수 텃밭’에 있는 정통 지지층의 표심부터 집중 공략하겠다는 구상으로 풀이된다. 그는 “박정희 전 대통령은 우리나라 산업화와 오늘날 우리가 누리는 이 번영의 기초를 닦았다”고 평가했다.
이어 최 전 원장은 또 박근혜 전 대통령의 사면론 카드를 끄내들었다. 그는 “문재인 대통령이 국민 통합을 원한다면 바로 오늘이라도 박근혜 전 대통령 사면의 용단을 내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바로 오늘’이라는 시한까지 못박아 사면을 촉구한 것은 윤 전 총장이 점유한 보수 지지층 및 당원의 지지율을 최대한 끌어모으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 윤 전 총장이 박 전 대통령의 구속 수사를 주도했던 당사자인 반면에 자신은 ‘정치적 부채’가 없는 보수의 대표 주자임을 부각하려는 의도도 엿보인다.
최 전 원장은 이어 국민의힘 대구시당과 경북도당을 찾은 자리에서 통합신공항문제에 대해 “필요하면 특별법을 만들어 지원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박동혁·심상선·피현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