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홍원 선관위원장 선임 당내 갈등 가라앉을까?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와 윤석열 전 검찰총장 간 갈등을 일컫는 ‘투스톤 대전’으로 분열된 당내 갈등이 수면아래로 가라앉을 지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이 대표는 당 분열 상황에 대해 처음으로 사과했고, 대선 경선 선거관리위원장도 중립 카드로 평가되는 정홍원 전 국무총리를 선임했다. 이 과정에서 일부 최고위원들과 사전 협의를 거치며 마찰을 최소화하는 등 노력을 기울이는 모습이다.
이 대표는 23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에서 “당 대표로서 지금까지 경선준비 과정에서 있었던 모든 분란과 당내 오해가 발생했던 지점에 대해 국민과 당원께 진심을 다해 사과 말씀을 올리겠다”며 “선관위원장이 결정된 이상 이견보다 대동소이한 정권교체를 향한 마음으로 공정한 경선관리가 될 수 있도록 (노력을) 경주할 것”이라고 자세를 낮췄다. 지난 두 차례 회의에서 연달아 공개 발언을 건너뛰며, 윤 전 총장을 향해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않았던 것과 비교하면 정반대의 태도다.
그러면서 그는 “19대 총선 공천관리위원장을 지내고 박근혜 정부에서 국무총리를 역임한 정 전 총리가 우리 당의 경선·선거관리위원장을 맡아주기로 했다”며 “승리 경험을 갖고 계신 분이며, 정치권 이해도 해박하고 공명정대한 분이다. 최고위 결의를 통해 공정한 경선관리와 흥행을 위한 전권을 부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당 지도부 내에서 이견이 없는 정 전 총리를 선임했고, 전날 언론 보도로 정 전 총리 내정 사실이 알려지자 긴급히 최고위원들과 협의 과정을 거치기도 했다.
최고위원들도 이날 이 대표에 대한 공개 비판을 자제했다.
다만 당내 갈등의 불씨는 남아 있다. 이 대표와 윤 전 총장 간 싸움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고, 경선 과정에서 토론회 방식 등을 놓고 이 대표와 일부 최고위원들 간 마찰이 언제든지 불거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윤석열 전 총장 측에서 “이 대표와 가깝다”고 의심하는 유승민 전 의원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윤 전 총장은 정권교체를 하러 온 건가, 당권교체를 하러 온 건가”라며 “캠프 내 인사들의 잇따른 도발에 대해 윤 전 총장이 직접 사과하라”고 촉구하기도 했다. /박형남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