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포스텍 주도 의사과학자 양성 필요” 한목소리

박순원기자
등록일 2021-12-08 20:31 게재일 2021-12-09 2면
스크랩버튼
경북도·포항시, 국회서 의학교육 혁신 정책세미나<br/>  김무환 포스텍 총장 “공학 기반 연구중심 의대 설립 반드시 필요”<br/>“국가정책화에 노력”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 등 참석자들 공감대
8일 국회에서 국가 바이오의료 산업의 선도를 위해 의사과학자 양성이 필요하다는 내용의 토론회가 열렸다. 이 자리에는 이철우 경상북도지사와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 김기현 원내대표, 김정재 의원, 김병욱 의원, 이강덕 포항시장 등이 참석했다. /김정재 의원실 제공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포스텍을 중심으로 하는 의사과학자 양성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연구개발 특화 공과 대학을 통해 바이오분야 연구 경쟁력을 키우자는 것이 핵심이다.

8일 국회에서는 국민의힘 김정재(경북 포항북)·김병욱(경북 포항남·울릉) 의원과 경상북도 및 포항시, 포스텍이 공동 주최한 ‘국가 바이오·의료(헬스케어) 산업 선도를 위한 의사과학자 양성 및 의학교육 혁신 정책세미나’가 열렸다.


이날 세미나에는 이철우 경상북도지사와 이강덕 포항시장,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를 비롯해 국민의힘 김기현 원내대표와 조해진 교육위원회 위원장 등이 참석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


이 자리에서 김무환 포스텍 총장은 “의사과학자 양성은 대한민국 미래발전의 원동력이며, 공대에 기반한 연구 중심 의대 설립이 국가적으로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김법민 고려대 바이오의공학부 교수는 최근 발전하고 있는 의료기기산업의 상관성에 주목하며 “의사과학자가 헬스케어 산업의 주인공으로 각종 기술의 임상근거를 제시하기도 하고 기업성장을 주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한희철 한국의과대학 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 이사장은 한국의 의사과학자 양성 과정에 있어 현실적인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발언하며 “의료는 과학에 기반한 진료이며, 전주기에 걸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의사과학자 양성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했다.


이날 세미나에 참석한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바이오산업의 미래 발전을 위해 국가적인 차원에서 의사과학자 양성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연구중심 의과대학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이는 국가경쟁력과 직결되는 과제로 연구중심 의과대학 설립은 지역의 문제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 역시, “바이오산업은 앞으로 미래 국가발전을 이끌어갈 핵심 산업이다”며 “국가 바이오의료산업 선도할 의사과학자 양성을 위해 국가정책화해 나가도록 힘쓰겠다”라고 전했다.


김정재 의원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바이오분야 연구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 연구하는 의사, 의사과학자의 양성이 반드시 필요하다”면서 “이를 위해 포스텍과 같은 세계적 수준의 이공계 연구중심 대학과 연계해 의학과 과학을 융합하는 연구중심 의과대학 설립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병욱 의원은 “국가 의학분야 연구력이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의사과학자 양성이 중요하다”며 “우리나라의 포스텍이나 카이스트 같은 연구개발 특화 공과대학에 연구 중심의 의대를 만든다면 상당한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국가 바이오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의사과학자 양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의사과학자 양성은 교육계·의학계·산업계 등 관련 분야는 물론 국가적인 차원에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며 “특히, 노령화에 따른 의료수요 증가와 의료기술 발전의 중심에 공학 기반 ‘연구 중심 의대’가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순원기자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