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신년사에서 문 대통령은 국민통합과 선도국가 도약을 위한 노력을 강조할 것으로 알려졌다. 또 국민통합 차원에서 사면된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언급이나 종전선언을 포함한 남북관계 개선방안 등에 대해 언급할 지 관심이 쏠린다.
문 대통령은 휴일인 2일 공식 일정을 잡지 않고서 신년사 내용을 구상하는 데 집중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지난해 12월 30일 기자들을 만나 “신년사의 핵심은 ‘완전한 위기극복’과 ‘선도국가 전환의 원년’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난에 가까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를 빨리 극복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국제질서 재편 과정에서 선도국가로서의 위치를 다져야 한다고 강조하는 데 연설의 초점을 맞추겠다는 뜻이다. 이 과정에서 문 대통령은 진영 대결을 멈추고 모두 힘을 합치는 ‘국민통합’을 강조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문 대통령이 박근혜 전 대통령을 특별사면한 배경을 설명하면서 국민통합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다는 추측도 나온다. 그러나 문 대통령이 신년사에서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안을 언급할 경우 야권을 중심으로 정치개입 논란이 불거질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신중하게 접근할 것이라는 게 이 관계자의 설명이다.
다만 문 대통령은 남북관계 개선에 대한 의지를 신년사에 포함할 것이 확실시된다. 문 대통령이 이미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재가동을 위한 임기 내 마지막 카드로 종전선언을 이미 제안한 바 있고, 이를 포함한 남북관계의 돌파구 마련을 위해서는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겠다는 것이 청와대의 입장이다.
한편, 문 대통령은 20여분간의 신년사 발표를 마친 뒤에는 정·재계 인사들과 화상으로 신년인사회를 하며 덕담을 주고받을 예정이다.
/김진호기자 kj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