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귀촌 1번지’인 경북에서도 최근 귀농 인구가 줄어드는 추세라고 한다. 농식품부와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귀농귀촌 통계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경북의 귀농 인구는 1948명으로 전년 대비 20.5% 줄어들었다. 반면 도내 중소도시에 집중되는 귀촌 인구는 5만1654명으로 23.4% 늘었다. 전년 대비 귀농은 503명이 감소한 반면, 귀촌은 9806명이 증가했다. 경북도는 “농촌 체험 활성화와 50대의 도시 취업 선호, 귀촌 후 농업 기술을 배운 뒤 차차 귀농하는 ‘선 귀촌·후 귀농’ 현상이 영향을 줬다”고 분석했다.
경북의 귀농가구 수는 2020년을 제외하고는 최근 10년간 줄곧 전국1위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상주와 의성, 영천, 김천이 귀농 인기 지역이다. 경북의 누적 귀촌 가구 수도 전국에서 경기에 이어 두번째로 많다. 도내 귀촌 인기지역은 포항과 경산, 칠곡, 경주, 구미 등을 꼽을 수 있다. 귀촌 가족들은 어느 정도 생활 인프라가 갖춰진 곳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선 일자리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포항의 경우 지난해 귀촌 인구가 8345가구 유입되면서 전년(4933가구) 대비 69.16%나 증가했다. 경북이 귀농·귀촌 대상지로 각광을 받는 이유는 과수와 시설채소, 축산 등 돈이 되는 고소득 작물 위주로 농업이 발달했기 때문이다.
문제는 귀농·귀촌인구가 늘더라도 지속적이지 않다는 점이다. 농촌에 새로운 활력을 불러 넣을 청년층이 귀농·귀촌을 결심하려면 무엇보다 자녀 교육문제가 일차적으로 해결돼야 한다. 귀농한 청년들의 얘기를 들어보면, 귀농 후 가장 큰 문제를 자녀 교육으로 지목한다. 유치원, 초등학교를 거치면서 대부분 귀농가족이 자녀 교육 문제 때문에 결국 도시로 떠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자녀들이 초등학교 입학 전에 1차 러시가, 고학년 때 2차 러시가 이루어진다고 한다. 지역균형발전과 농어촌지역 소멸을 막기 위해서는 기초자치단체에서도 보편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무엇보다 선행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