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취와 분진 없는 환경, 건강한 대구의 시작입니다.”
지난 17일 오후 서구청 구민홀에서 대구 서구 일대 악취 문제 개선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주민간담회가 열렸다.
대구시와 서구청 등 집행부가 주관한 첫 간담회로 주민들의 이목이 집중됐다. 하지만 3시간 동안 진행된 이번 간담회에서도 행정 당국이 명쾌한 해답을 내놓지 못하자 주민들은 간담회가 요식행위에 불과하다는 비난이 일었다.
이번 간담회는 평리동 주민들로 구성된 대구악취방지시민연대가 민주당 대구시당에 요청해 마련된 것으로, 대구시와 대구지방환경청,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염색공단, 민주당 관계자, 서구의회 의원, 주민 등 120여 명이 참석했다.
간담회장에는 ‘악취 해결, 2030 염색공단 이전’ 피켓과 ‘대구시는 염색공단, 환경 기초 시설에 대한 악취 문제 해결하라’ 는 등의 현수막이 걸렸다.
이날 주민들은 여전히 악취에 따른 고통을 호소하며 복합 악취 개선 방안과 염색공단 이전 등을 요구했다.
조용기 대구악취방지시민연대 대표는 “익산시의 익산 악취 24는 서구 시스템과 달리 온도, 습도, 풍향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휴대전화로 간편하게 악취 민원도 접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악취 모니터링의 후발주자인 익산악취24보다 수년이나 먼저 구축했고, 예산도 많이 주어진 상황에 첫 접근방식이 잘못됐다”고 덧붙였다.
이에 패널로 나선 서구청 관계자가 추후에 답변을 하겠다고 발언하자 주민들은 ‘돌발질문에 대처하나 못하나’, ’질의에 대해서 준비해서 온 모습이 전혀 없었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또 간담회 중간중간 고성이 오가기도 했다.
이에 서구청 악취 담당 부서장이 “서구청과 익산시가 각각 운영하는 악취 감지 시스템은 기술적인 부분에서 차이가 난다고 볼 수 없고, 설치 개수에 따라 비용적 차이는 있을 수 있다“ 고 발언하며 사태는 일단락됐다.
이어 주민들은 서구 조례에 명시된 ‘악취대책민간협의회’ 의 운영에 대해서도 질타했다.
서구청 관계자는 “핑계처럼 들릴 수 있겠지만, 작년부터 시에서 악취 개선 TF추진단을 운영하고 있다”며 “협의회와 중복되는 부분이 있다고 판단해 현재는 운영하지 않고 있다”고 해명했다.
또 수년간 600억 원이 넘는 혈세가 투입했지만, 주민들이 몸소 체감할수 없는 상황으로 주민건강 영향 조사와 배출 규제 강화의 목소리도 나왔다.
평리5동 한 주민은 “염색공단을 비롯한 환경기초시설 등에서 동시에 기준치 이하로 유해 물질을 내뿜어 흡입하게 된다며 인체에는 당연히 해롭기에 주민 건강 영향 조사를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주한 서구의원은 “주민들이 실질적인 악취 피해를 계속 호소하는 상황에서, 행정기관들이 복합악취 ‘기준치 이하’라는 답변만 반복하고 있다”며 “악취관리지역 절반 이상이 엄격한 배출 허용 기준을 적용하고 있는 만큼 대구시도 관련 조례를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밖에도 염색산업단지의 이전과 주민들에 대한 악취 보상 방안 등의 의견이 나왔다.
한편, 대구 염색산업단지는 악취 관리구역으로 지정된 지 1년이 지났다. 단속이 강화됐지만 서구청은 6월부터 현재까지 지도점검 결과 단 3건만 적발했다.
/황인무기자 him7942@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