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울릉도 오징어는 이제 ‘아 ,옛날이여’…고기 안 잡히면서 어선감척도 역대 최다

김두한 기자
등록일 2025-07-17 10:48 게재일 2025-07-18 10면
스크랩버튼
오징어가 많이 잡힐 때 저동항 어선들. /김두한 기자 

한때 울릉도는 오징어가 최고의 수입원이자 상징이었던 시절이 있었다. 오징어 어선을 자식에게 대물림할 정도로 오징어잡이는 섬 경제의 핵심 산업 역할을 했다. 울릉도의 수산물 생산량 중 90% 이상이 오징어였고, “오징어가 풍년이면 시집간다”는 노래 가사가 유행할 정도였다.

하지만 지금은 그저 추억으로만 남은 옛말이 됐다.  

기후 변화에 더해 중국 어선들이 북한 수역에서 그물로 쌍끌이 조업을 하면서 오징어 자원이 고갈된 것이 가장 큰 원인이다. 젊은이들이 대부분 육지로 떠나 가버려 오징어 잡을 어민들도 부족하다. 업종은 자연스레 사양길로 접어들었다. 저동수협 냉동창고 앞 항구에 늘 얽히고설킨 채 길게 늘어서 있던 소형 어선들의 모습도 이제는 더이상 볼수 없다.  

오징어가 안 잡히면서 배 거래도 끊긴지 오래됐다. 돈이 안되니 살 사람이 없는 것은 당연지사. 

다행히 숨통을 틔워 준 것이 정부의 조치였다. 예산을 들여 어선을 매입해 주는 감척사업이었다.  울릉군에 따르면 올해 울릉도에서 연안어선 감척(폐업)을 신청한 어선은 26척으로 나타났다.  9.77t급이 9척으로 가장 많고 7.93t급 2척, 7.31t급 3척, 56.99t급 6척, 34.99t급 4척, 2.99t 미만 2척 등이다.  

 앞서 오징어잡이 소형어선은 2020년 10척(신청 13척), 2021년 7척(8척 신청), 2022년 4척(5척 신청), 2023년 8척(14척 신청) 등 상당량 감척돼 왔다. 올해는 고기가 잡히지 않다보니 신청이 훨씬 늘었다. 

 문제는 신청에 비해 예산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당연  감척하고 싶어도 할 수 가 없다. 실제 2024년 경우 신청 14척 중 6척만 감척됐다.  올해도 예산 부족으로 26척 신청 어선 중 10척은 감척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오징어가 많이 잡힐 때 저동 수협 냉동창고 앞에 소형어선들이 따로 정박하고 있다. /김두한 기자 

특히 까다로운 감척 조건은 어민들을 더 울리고 있다. 그 중에서도 ‘연간 60일 이상 조업’ 조건은 어민들에게 피멍이 들도록 만든다.  어민들이 오징어를 잡으러 바다로 나가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든 조업 일수를 맞추기 위해 유류비와 인건비, 시간을 들여 배를 띄울 수 밖에 없는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다.  그래야 감척 신청이라도 할 수 있으니 어쩔 수가 없다. 

울릉도에서 오징어잡이 어선 세력이 확 줄어든 것은 이제 수치상으로도 확연히 드러난다. 

 올해 어민들이 신청한 감척이 모두 반영될 경우, 최근 5년간 울릉도에서 감척되거나 육지로 팔려간 어선은 100여척에 달한다. 500척이 넘던 울릉도 오징어 조업 어선은 2024년 기준 129척에 불과했다.  

 오징어 어선 수입도 장부를 들여다보면 초라하다. 

울릉수협에 의하면 최근 5년 동안 연 200여억원을 넘긴 적이 없다.  위판 실적을 보면, 2020년에는 117만1926kg을 잡아 98억8165만 원의 수익을 기록했지만,  2021년에는 61만6,247kg를 잡아 47억9,617만 원에 그쳤다. 전년도의 절반도 안됐다. 그나마 기대 이상 오징어를 어획한 것은 2022년이었다.  97만7,927kg를 어획했고 105억7,911만 원의 위판고를 올려 모처럼 수협에서 박수를 치며 반겼다. 그러나 그건 거기까지였다. 다음해 인 2023년에는 4만9370kg밖에 못 잡았다. 위판고도 6억4,064만 원에 불과, 어민들의 한숨 소리가 항구를 가득 메웠다. 2024년에도 14만5,034kg을 위판, 24억9591만 원의 수익에 그쳤다. 

부진한 어획은 올해도 마찬가지다. 요즘 조업에 나가더라도 한 상자도 채우기 어려운 날이 부지기수다.  생명 같은 배를 감척하지 않고서는 베길 수  없는 국면에 직면한 것이다. 

인력 부족도 문제다. 울릉도는 선원이 부족해 자동 조상기에 의존하는 반면, 육지 대형어선은 어부 5~10명이 탑승해 수작업으로 오징어를 올리는 데 일할 사람을 구하기가 쉽잖다. 젊은이들은 대부분 육지로 떠나가버려 선원 고령화도 심각하다. 밤을 새워 바다에 나서야 하는 오징어잡이에 60대 후반 이상의 노인들이 버티고 있는 형국이다.

저동항 어선들이 확실 줄어든 모습을 볼 수 있다. /김두한 기자 

어민들은 지금의 상황이 정부의 정책 실패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지적한다. ‘중국 어선이 북한 수역에서 쌍끌이로 조업하는 것만 막았어도 오징어 씨가 이렇게 마르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말한다.

실제 울릉도 오징어 어획량 통계를 보면, 이들의 주장이 일리가 있다.

1992년 1만262t, 1993년 1만5333t, 1994년 9708t, 1996년 1만121t, 1997년 1만1116t 등, 2001년까지는 연간 1만t 수준이 유지됐다. 그러나 중국어선의 쌍끌이 조업이 본격화된 2004년부터 급감해 △2004년 4671t, △2010년 2898t, △2012년 1984t, △2015년 1850t, △2016년 985t, △2018년 757t, △2021년에는 625t까지 내려앉았다.

중국 어선 1000~2000척이 외유성 오징어의 회유 경로인 북한 수역에서 대형 그물을 이용해 싹쓸이 조업을 벌이면서 오징어 자원이 바닥나 버린 것이다.  회유성 어종인 오징어는 북한 수역에서 울릉도 쪽으로 내려오면서 성장하는데 북한 바다에서 거의 다 잡아버리면 울릉도로 남하하는 물량이 없을 수 밖에 없다. 

김해수 전국채낚기실무자 울릉군 총연합회장은 “2004년부터 동해 오징어가 명태 꼴 난다고 경고했지만, 정부는 손 놓고 있었다”며 “이제는 오징어도 명태처럼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고 안타까워했다. 

/김두한 기자 kimdh@kbmaeil.com

동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