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지역소멸 위기 속 경북 5곳, ‘생활 SOC’로 재도약 모색

김진홍 기자
등록일 2025-08-07 15:15 게재일 2025-08-08 3면
스크랩버튼
국토부 ‘2025 지역개발사업’ 공모···청도·의성·청송·영양 등 지역수요맞춤사업 선정

경북 지역 5곳이 국토교통부의 ‘2025년 지역개발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돼 낙후지역 생활기반 개선과 정주여건 회복에 나선다. 지역소멸 위기 대응과 지방 균형발전의 기반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국토부는 7일, 올해 ‘지역개발사업’ 공모 결과 투자선도지구 5곳과 지역수요맞춤지원 사업 20곳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 중 경북은 투자선도지구에서는 탈락했으나, 지역수요맞춤지원 사업에 청도, 의성, 청송, 영양 등 총 5곳이 포함됐다.

청도군은 일반공모 부문에 선정돼 최대 25억원을 지원받아 ‘5도2촌 충전소 조성사업’을 추진한다. 귀농·귀촌인을 위한 체류 공간과 지역 커뮤니티 기반을 확충해 농촌 정착률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소규모 부문에서는 △의성군 중리리 안전도로망 구축, △청송군 목계마을 문화복지 거점 조성, △영양군 화매1리 일상회복센터 및 잿빛 속 활력 회복 거점 등 4개 사업이 포함됐다. 이들 지역은 대부분 올해 산불 피해를 입은 곳으로, 마을회관 재건·임시주거지 정비 등 긴급 생활 인프라 확충이 시급한 상황이었다.

국토부는 “올해 공모는 일반과 소규모 부문으로 나누어 총 20개 사업을 선정했다”며, “경북 지역은 농촌의 고령화·공동화와 재난피해까지 겹친 상황에서 주민의 정주 여건을 회복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설명했다.

반면, 민간투자 유치와 도시성장을 이끄는 투자선도지구에는 경북 지역이 한 곳도 포함되지 않았다. 강원 영월, 전북 전주·남원, 경남 고성·거창 등 5곳이 선정돼 최대 100억원의 국비를 지원받는다.

지역균형발전 정책의 마중물 역할을 목표로 한 이번 공모에서 경북이 성장거점 육성사업에서 배제된 점은 아쉬운 대목이다. 투자선도지구는 조세 감면, 용적률 완화, 기반시설 지원 등 민간 유인을 강화하는 사업으로, 지역 산업 전환과 대규모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크다는 평가를 받는다.

지역 경제의 한 전문가는 “생활 기반 확충은 반드시 필요한 단계지만, 투자 유치와 청년 일자리로 이어지는 성장형 사업에도 지속적으로 도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