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됐나!, 됐다!”
국민의힘 제6차 전당대회 대구·경북 합동연설회가 8일 오후 2시 대구 엑스코에서 뜨거운 열기를 내뿜으며 포문을 열었다.
당 지지율은 역대 최악이지만, 3000여 명의 당원과 지지자들이 가득 찬 이곳에서는 각자 응원하는 후보를 위한 구호를 외치는 등 분위기를 달궜다.
이날 연설회에 앞서 국민의힘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대구·경북은 보수의 심장이며, 국가 위기 처할 때마다 국난 극복의 기둥이 돼 줬다”며 “지금 대한민국은 큰 위기 속에 놓여 있다. 국민과 나라의 심장은 여전히 뜨겁지만, 방향을 잃은 무도한 이재명 정권이 민생의 맥을 짓누르고 있다”고 했다.
이어 송 비대위원장은 “진심으로 국민을 위하고 정정당당하게 맞서 싸우면 국민은 반드시 다시 우릴 선택할 것”이라며 “여러분의 용기와 여러분의 선택이 이 나라를 바로 잡을 것이고, 그 길의 선두에 대구·경북이 함께 해달라”고 당부했다.
연설회는 청년최고위원 후보의 연설부터 시작됐으며, 최고위원 후보, 당대표 후보 순으로 이어졌다.
청년최고위원 후보에는 우재준·최우성·손수조·박홍준 후보 순으로 나와 연설을 시작했고, 최고위원 후보는 김민수·김근식·신동욱·손범규·최수진·김재원·양향자·김태우 후보가 지지를 호소했다.
특히 당대표 후보의 연설이 시작되자 지지자들의 응원전 경쟁은 심화했다.
가장 먼저 연설을 시작한 당 대표 후보는 장동혁 당 대표 후보. 발표 시간은 7분씩 주어졌다.
장 후보는 “대한민국 보수의 심장에 서 있지만 지금은 뛰지 않고 있다. 우리 당의 대통령을 지켜내지 못했다. 지킬 힘을 주셨지만 하나로 뭉치지 못하고 두 번이나 스스로 탄핵의 문을 열어줬다”며 “특히, 탄핵을 반대했던 당원들을 비판만하고, 이재명 정부에 맞서 싸우지 못하며 윤석열 전 대통령 탓만 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제가 앞장서서 분열을 막고, 이재명을 재판정에 세우고, 당원들이 주인인 국민의힘을 만들겠다”면서 “자신의 뒤에는 오직 당원들만 있다. 국민의힘의 미래가 되겠다”고 다짐했다.
이어 나온 조경태 후보는 “위헌적이고 불법적인 비상계엄 선포로 인해 당이 해체 수준의 참혹한 상황에 놓여 있다”며 “부정선거 음모론과 윤 어게인을 외치는 이들을 몰아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혁신만이 살 길”이라면서 “국민 100% 인적 쇄신위원회 구성, 진정한 당원 주권 시대 개막, 미래를 위한 지방화 개헌 추진 등 3가지 핵심 비전을 제시한다”고 했다. 특히 국가 균형 발전을 위해 중앙 부처(산업통상자원부)를 대구·경북으로 이전해 지역 경제를 살리겠다는 구체적인 공약을 내세웠다.
김문수 후보는 정견 발표에 앞서 대구·경북 당원들에게 지난 대선에서 승리하지 못한 것에 대해 죄송함을 표했다.
그는 “이재명 정부가 집권 두 달 만에 민주주의를 파탄 내고 국회, 행정부, 사법부를 장악했다”며 “더불어민주당이 국민의힘을 해산시키려 한다며, 이는 결국 일당 독재로 이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 후보는 이재명 대통령에게 공개 끝장 토론을 제안하며 반미, 친 극좌, 반기업 세력에 맞서 싸우겠다는 생각도 밝혔다. 아울러 지방선거 승리를 위해 공정한 공천 혁명을 약속했고, 자신이 과거 학생 운동과 수감 생활을 통해 싸울 각오가 되어 있는 후보임을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나온 안철수 후보는 정권을 잃고 민주당에 대통령 자리를 환납한 것에 대해 사과하며 연설을 시작했다.
안 후보는 “과거 선거마다 대구·경북을 보수의 심장이라고 추앙하고 표를 구걸했지만, 결국 패배했다”면서 “특히 계엄에 찬성하고 ‘윤 어게인’을 신봉하는 극단 세력들이 당을 접수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러한 세력에 휘둘리지 않고, 당원과 국민만 바라보며 유능, 헌신, 품격이라는 보수 정당의 근본 가치를 되찾겠다”며 “저야말로 수도권 선거에서 승리할 수 있는 사람”이라고 강조하며 지지를 호소했다.
한편, 이날 역사 강사 출신의 보수 유튜버 전한길 씨도 합동연설회장에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특히 ‘찬탄파(탄핵 찬성)’ 인사로 꼽히는 김근식 최고위원 후보가 전 씨를 언급하자 그는 관객석으로 달려 나가 ‘배신자’를 외쳤다. 그러자 관객석에서는 전 씨를 따라 ‘배신자’를 연이어 외치는 소동도 벌어졌다.
글·사진 /김재욱기자 kimjw@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