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울릉도 포함 한국 섬 총 3,390개로 최종 확인…섬 현황데이터 최초 공식 발표

김두한 기자
등록일 2025-08-08 10:40 게재일 2025-08-11 11면
스크랩버튼
울릉도 전경. 울릉도 관문 도동항이 보인다./자료사진

한국의 섬이 울릉도를 비롯해 모두 3390개인 것으로 최종 확인됐다.  한국섬진흥원은 7일  유인섬을 담당하는 행정안전부와 무인도서를 관할하는 해양수산부의 협의를 거쳐 울릉도 등 대한민국 섬 지역 현황데이터를 최초로 공식 발표했다. 이는 향후 섬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게 된다.

2024년 기준 대한민국의 유인섬은 울릉도를 비롯해 총 480개로 최종 확인됐고, 중복지정 등 검토를 통해 무인도서는 2910개로 정리됐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전체 섬의 개수는 3390개로 2021년 3382개에 비해 8개가 증가했다. 

이번 조사는 그동안 각 부처와 지자체에 흩어져 있던 파편적인 정보를 국가 차원의 통일된 기준으로 통합한 최초의 종합 현황데이터라는 점에서 역사적 의미가 크다.

우리나라 광역단체 별 섬 현황./한국섬진흥원 제공

특히, 그동안 부처별로 다르게 관리되던 섬 통계의 혼선을 바로잡았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원화된 체계로 섬의 중복 지정이나 누락 등의 문제가 발생했고, 이로 인해 대한민국 섬의 총 개수가 달라 국민에게 혼란을 주기도 했다. 

이는 단순한 숫자를 넘어 관리에서 빠진 섬을 발굴하고, 신규 주민등록 전입 유인섬, 무인도서 전환에 의한 중복 섬 제외 등 유·무인섬의 기준을 명확히 하고, 관리체계를 구축한 결과다.

이번 조사는 섬의 개수와 인구뿐만 아니라, 육지와의 연결 상태(연륙교), 여객선 운항 여부, 교통 접근성이 취약한 ‘소외도서’ 현황 등 대분류 10개 항목, 중분류 26개 항목, 세분류 92개 항목을 포괄적으로 담고 있다.

한국섬진흥원 유인섬 현황 정보 오픈 사이트./한국섬진흥원 제공

2025년 유인섬 현황조사 데이터는 한국섬진흥원 홈페이지(https://www.kidi.re.kr/home.do)를 통해 유인섬 현황 정보와 공간 정보의 조회 및 데이터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행정안전부와 한국섬진흥원은 대한민국 최초의 공식 유인섬 현황 데이터 발표를 계기로 섬 정책의 패러다임을 ‘경험 중심’에서 ‘데이터 기반’으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이번 ‘2025년 유인섬 현황조사’ 결과 공표는 단순한 정보 공개를 넘어, 과학적 행정과 증거 기반 정책을 통해 섬의 소멸 위기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고 지속가능한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전략적 출발점이다.

그동안 섬 정책은 통계의 부재로 인해 정책의 우선순위를 정하거나 효과를 측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왔다. 

 

행정안전부와 한국섬진흥원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긴밀한 협력 거버넌스를 구축했고, 이번 조사를 시작으로 대한민국 섬의 모든 현황을 체계적으로 데이터화하고, 이를 정책 혁신의 핵심 동력으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한국섬진흥원 전경./한국섬진흥원 제공

특히 인구감소, 고령화 등 구조적 과제를 확인할 데이터가 체계적으로 정리돼 국가 차원의 정책 대응이 한층 정교해질 것으로 보고 단발성 조사가 아닌, 매년 조사를 시행해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를  통해 데이터를 확보하는 한편 국가 승인통계로 발전시켜 공인된 섬 통계를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한국섬진흥원은 “섬지역 현황 데이터는 주민의 삶을 이해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가장 기초적인 데이터”라며, “지속적인 정비와 활용을 통해 섬 정책의 뿌리를 만들겠다”고 했다. 또 ”섬 정책사업 데이터와 통계 수요자의 요구 등을 고려해 조사 항목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김두한 기자 kimdh@kbmaeil.com

 

동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