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 환경단체 등 LNG복합화력발전소 2호기 건설 철회 요구
오는 2027년 3월 상업 운전을 목표로 안동시 풍산읍에 건설 중인 안동 LNG복합화력발전소 2호기가 환경단체의 거센 반발에 직면하고 있다.
20일 환경단체 등에 따르면 이 발전소는 경남 하동의 노후 석탄화력발전소를 대체하기 위한 정부의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추진되는 것으로 총 5875억 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사업이다.
환경단체는 “안동은 이미 지난 10년간 1807회 재가동된 1호기 LNG복합화력발전소로 인해 CO₂ 156만 t, NOx 1174t, 암모니아 279t 등 다량의 오염물질을 배출한 지역이다”고 주장했다. 특히 환경영향평가 기준을 초과한 물질이 7종에 달하며, 분지 지형 특성상 대기오염물질이 쉽게 확산되지 않아 주민 건강권 침해 우려가 크다는 점도 강조했다.
김수동 안동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는 “안동은 공기질이 이미 나쁘다. 오염물질이 대기 중에 머물러 주민들이 그대로 마시게 된다”며 “질소산화물과 초미세먼지(PM-2.5), 오존(O₃) 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한 것이 환경영향평가서에서도 확인됐다”고 밝혔다.
환경단체들은 △안동 LNG복합화력발전소 2호기 건설 계획 즉각 철회 △안동시의회 건설 반대 결의안 채택 △건축허가취소 소송 즉각 인용 △노후 석탄 대체 LNG 정책 전면 재검토 △재생에너지 중심의 전력수급계획 수립 등의 요구를 정부와 지자체에 전달하고 있다.
건축허가 과정에서도 절차적 정당성에 대한 논란이 불거졌다.
환경단체들은 안동시가 남부발전에 공장 6개 동 건축을 허가하면서 이를 4개 동과 2개 동으로 나눠 ‘불법 쪼개기’ 방식으로 처리했다고 주장하며 건축허가처분 취소 소송을 제기했다. 현재까지 3차례의 변론기일이 열렸지만 실질적인 진전은 없는 상태다.
김순중 안동시의원은 “지역 전력 수요가 부족한 것도 아닌데 왜 안동에 또 발전소를 짓는가. 탄소중립과 RE100 정책에 역행하는 결정”이라며 “경제효과가 연간 15억 원에 불과한데 주민 건강과 환경권을 희생시키는 것은 전형적인 소탐대실”이라고 비판했다.
정부는 LNG를 석탄보다 친환경적인 대안으로 보고 있지만, 최근 몇 년간 LNG 발전량은 증가하지 않고 있다.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2038년까지 LNG 발전설비는 55% 증가하지만 발전량은 오히려 52.9%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재생에너지의 확산과 기술 발전으로 LNG의 경쟁력이 점차 약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허승규 기후위기안동비상행동 집행위원장은 “지금이야말로 LNG 중심의 에너지 정책을 전면 재검토하고, 유연성 자원과 백업설비를 확보한 재생에너지 중심의 전력수급계획을 수립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