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 대면 알 만한 상담전문가가 SNS에 올린 글을 읽게 되었다. 알고리즘으로 뜬 모양이다. 그의 남편이 암으로 병원에서 투병하다가 재택 임종을 원해서 집에 왔는데 맥주를 너무 먹고 싶어 해서 무알코올 맥주를 건넸다는 이야기다. 남편이 침대에 누워 맥주를 들고 있는 사진까지 올렸다. 몸통만 보였는데 너무나 앙상해서 불치병 환자가 주인공으로 나오는 영화를 보는 것처럼 현실감이 느껴지지 않았다. 이런 사진까지 올린 그 상담전문가의 용기가 놀라웠다.
그러자 여러 사람이 맥주 건넨 것을 잘했다는 댓글이 여러 개 달렸다. 부모님이나 배우자가 아플 때 먹고 싶은 것을 금지했던 일을 후회한다는 댓글도 많았다. 나 역시 그와 일면식도 없는 사이지만 우리 부모님도 모두 재택 임종하셨다는 댓글을 달아 위로했다.
SNS는 현대인의 생존 방식이자 중요한 소통 창구이다. 실종된 딸을 오직 딸의 SNS 흔적만으로 발견하는 영화가 나올 정도이다. 그래서 SNS에 올라온 글은 정보 창고이기도 하고 사람을 연결해주는 끈이 되기도 한다. 상담전문가의 SNS의 글도 그런 사례에 속할 것이다. 글쓴이는 재택 임종을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정보를 주고 싶다고 한다.
한편으로는 그 자신도 많이 두려울 것이다. 말로는 맥주를 주는 것이 남편을 사랑하는 방식이라고 했지만 무알코올 맥주를 마신 후 상태가 악화될까 걱정하면서 후회와 자책이 밀려올 수도 있다. 그런 힘든 마음을 SNS에 고백하면서 위로와 격려를 받고 싶었을지도 모른다. 실제로 그는 무너지고 있는 자신을 부여잡기 위해서, 글이 아니면 아무런 생의 목표도 없이 흩어져 버릴 것 같아서 글을 쓴다고 고백한다.
그런데 어떤 사람에게는 그런 행동이 몹시 부담스러운 모양이다. 그 사람은, 자신이 사랑하는 어떤 분이 돌아가신 후 지인이 그분의 생전 모습을 SNS에 올렸는데 약간 취한 모습이라 당황스러웠다고 한다. 그분이 살아있었으면 틀림없이 그런 영상은 내리라고 했을 것이라면서 혹시 그분과의 친분을 과시하기 위해 올렸나 의심하기도 했다. 심지어 부모님 시신 앞에서 슬퍼하는 자신의 모습을 셀카로 찍어서 올리는 사람도 봤다면서 SNS에는 밝은 모습만 올리면 좋겠다는 바람을 남겼다.
그동안 경험으로 보면, 아무래도 자기 개방을 많이 한 글이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연결고리를 만드는 경향이 많다. 봄 학기에 50대 후반의 여성 수강생이 대학 시절에 자기의 입술이 키스를 부른다는 말을 들었다면서 키스할 때 안 지워지는 립스틱을 바르면 안 된다는 글을 발표했다. 그때 모든 수강생의 얼굴에 미소가 번지며 강의실 분위기가 화사해진 느낌이 들었던 것 역시 비슷한 경우다.
SNS 글쓰기는 현대인의 필수 소통 도구가 되어가고 있다. 관종인가 연결인가는 중요하지 않다. 어차피 수용자가 주관적으로 판단할 뿐이다. 글을 쓰는 이가 글쓰기를 통해서 삶의 의미를 발견하고 내면을 얼마나 단단하게 만들어가고 있는가만 중요하다. 덧붙여 그 글들이 다른 사람에게 정보를 주고 서로 위로를 주고받을 수 있다면 그 글은 온전히 잘 쓰인 것이다.
/유영희 덕성여대 평생교육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