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찰청 형사기동대가 텔레그램을 이용해 전국에 마약을 유통해 온 국내 최대 규모 조직을 검거하며 온라인 마약 유통망에 결정적인 타격을 입혔다.
4일 대구경찰청은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수사를 통해 총 57명이 검거됐고, 이 중 17명이 구속됐으며, 약 30억 원 상당의 마약류와 현금이 압수됐다고 밝혔다. 경찰은 이들이 마치 기업처럼 운영하며 철저한 비대면 원칙과 분업화된 구조를 갖춘 신종 범죄 조직이라고 설명했다.
이들의 연령대는 20~40대로 다양했고, 텔레그램의 일부 협조를 통해 이번 작전을 성공할 수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브리핑에 나선 이승수 대구경찰청 마약수사계장은 “이번 사건은 최근 마약류 범죄에서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는 온라인 마약 시장의 유통 수단들인 운반책, 미등록 가상자산 거래업자, 밀수입 유통책을 비롯해 그 모든 유통 구조의 정점에 있는 총책 일당을 검거한 점”이라며 ”이들이 전국에 미리 은닉해둔 마약류를 모두 수거함으로써 대규모 온라인 마약류 유통망을 실질적으로 와해했다는 점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던지기’ 수법으로 전국 2000곳에 마약 은닉
이번에 검거된 조직은 베트남 등 해외에서 마약류를 밀수한 뒤, 텔레그램에 3개의 채널을 개설해 구매자를 모집했다. 이들은 ‘던지기’ 수법을 통해 마약을 유통했다. 운반책을 통해 전국 2000여 곳에 마약을 미리 숨겨두고, 구매자가 가상화폐로 대금을 입금하면 은닉 장소의 좌표를 알려주는 방식이다.
검거된 피의자들은 판매총책(채널 운영자) 6명을 비롯해 국내 유통책, 운반책, 구매자, 결제대행까지 역할을 철저히 분담했다. 경찰은 압수수색을 통해 23.1㎏의 마약류와 20억 원의 현금, 10억 원 상당의 명품시계 11점을 확보했다. 또한, 조직이 미리 숨겨둔 2000여 곳의 좌표를 추적해 3.5㎏의 마약류를 전량 수거하는 데 성공하며 마약 확산을 사전에 차단했다.
△키보드만 두드린 ‘온라인 사업체’
경찰 조사 결과, 이 조직은 마치 합법적인 사업체처럼 운영된 것으로 드러났다. 판매총책들은 2교대 연중무휴로 근무하며 사무실 운영, 판매, 운반책 관리 등 세부적인 역할을 분담했다. 이들은 수사기관의 추적을 피하기 위해 대면 접촉이나 전화 통화는 일절 하지 않고, 오로지 텔레그램과 가상자산을 통해서만 거래하는 ‘철저한 비대면 원칙’을 고수했다.
총책들은 직접 마약을 투약하거나 취급하지 않고, 온라인 유통망의 최정점에서 이익을 취해 온 것으로 확인됐다. 한 피의자는 “우리는 키보드만 두드리며 영업했다”고 진술하기도 했다. 이들은 약 1년간 60억 원에 달하는 수익을 올린 것으로 추정되며, 이 돈을 유흥비, 고급 외제차, 명품시계 구입 등에 탕진한 것으로 밝혀졌다.
△ ‘고객 관리’부터 ‘결제 대행’까지 체계적 범죄
이들은 마약 유통을 넘어 기업형 고객 관리를 선보였다. ‘구매자 리스트’를 만들어 구매 기록과 특이사항을 관리하고, 단골에게는 신상품 샘플을 제공하거나 배송이 안 될 경우 ‘AS 처리’까지 해주는 치밀함을 보였다. 아울러 판매량을 늘리기 위해 매월 수십만 원의 홍보비를 지급하며 텔레그램 홍보업자를 고용한 사실도 드러났다.
마약 대금 결제 과정에는 ‘미등록 가상자산 거래업자’가 동원됐다. 이들은 구매자로부터 현금을 받아 가상자산으로 환전해주는 방식으로 자금세탁을 도왔다. 경찰은 이들 중 4명을 검거하고, 마약 판매를 방조한 혐의를 적용해 구속 송치했다.
△국제 공조로 뿌리 뽑은 온라인 마약 유통망
이번 수사는 지난 1월 텔레그램 운반책 검거에서 시작돼, 베트남 현지 밀수책을 특정하고 미국 마약단속국(DEA) 및 인터폴과의 국제 공조를 통해 최상선 조직까지 추적하는 성과를 거뒀다. 특히 텔레그램 본사와의 협력을 통해 총책들의 사무실을 급습, 6명을 동시에 검거하는 쾌거를 이뤘다.
이승수 대구경찰청 마약수사계장은 ”앞으로도 경찰은 이번에 수집한 방대한 수사 자료를 바탕으로 온라인 마약수사 전담팀을 중심으로 관련 범죄에 대한 강력한 대응을 이어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김재욱기자 kimjw@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