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 드론산업 가능성...단·장기적 구상안 협의 안정면 비상활주로 활성화, 안보·지역경제 동시에 살린다 안정면 비상활주로, 항공산업 거점 가능성
영주시 영주 비상활주로를 활용한 지역 발전 전략을 두고 본격적인 방안 마련에 들어갔다.
시는 8일 영주 비상활주로 활용방안 기본구상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열었다.
이번 보고회는 영주시 비상활주로를 활용한 드론산업 가능성을 두고 단·장기적인 구상안을 협의하는 자리로 마련 됐다.
비상활주로 활용 방안은 드론산업 중심으로 사업 추진을 위한 환경평가를 크게 나누면 정치, 군사, 경제, 사회, 정보, 기반시설 등으로 구분된다.
비상활주로는 영주시 상줄동에서 안정면 내줄리 일원에 위치하고 길이 2.5km, 폭 45m 규모로 조성돼 현재는 공군 항공기 훈련 외에는 임시도로로 활용되고 있다.
영주 비상활주로는 드론 기술개발 실증에 적합한 장소로 평가받는 등 항공산업 거점으로 가능성이 제기돼 왔다. 지난해 9월에는 ㈜한화시스템이 대 드론 체계사업 성능시험을 실시해 그 활용 가능성을 입증한 바 있다.
영주 비상활주로 활성화 방안이 본격 추진 되면 안보와 지역 경제를 동시에 살리는 방안으로 활용 가능성이 높아질 전망이다.
군은 비상활주로 운용과 동시에 민·군 융합기술 실증 시험대의 역할과 영주시는 국방부 및 공공기관 실증 수요 연계 지역경제 안정성 향상이 기대 된다.
영주시는 올해 3월 드론실증도시 선정, 7월 드론특별자유화구역 신규지정 등 비상활주로 드론 활성화 여건 조성 발판을 마련했다.
비상활주로 사업은 경북전문대 항공정비·드론융합과, 경북항공고 항공정비과, 폴리텍대학 AI융합전자과 항공정비인력 양선센터 운영등 교육 인프라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 된다.
글로벌 드론 시장도 크게 성장하고 있다. 2018년 394억 달러에서 2024년 730억 달러로 성장하고 UAM시장 규모는 2018년 8억 달러에서 2023년 35억 달러 규모로 성장했다.
두바이와 상하이에서는 에어택시(UAM) 시험비행에 성공해 내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국내 드론산업 시장은 2016년 704억원에서 2023년에는 9800억원, 약 5800여개 업체가 운영 중이다.
이번 연구용역은 비상활주로와 주변 지역의 발전방안과 사업 로드맵을 마련해 국가정책 제안에 반영할 비전을 제시하기 위해 추진됐다.
시는 이번 연구용역을 통해 비상활주로의 잠재력을 극대화하는 한편, 드론·항공산업을 비롯한 신산업 육성 기반을 마련해 지역 발전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김세동기자 kimsdy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