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사회

태풍 ‘마이삭’ 할퀸 영덕, 해안가 일대 월파 피해

영덕군은 지난 2년간 겪었던 태풍 침수 악몽을 되씹었다. 3일 영덕을 휩쓸고 간 제9호 태풍 마이삭이 2018년 콩레이, 2019년 미탁이 몰고왔던 지긋지긋한 침수 피해의 기억을 되살렸다. 이번에는 3년째 침수피해를 입은 강구시장 일대가 아니라 강구 해파랑 공원과 해안가 일대가 침수됐다.3일 새벽 강풍 및 폭우를 동반한 ‘마이삭’이 동해안을 관통했다. 해안매립지에 조성된 영덕 해파랑 공원과 인근 상가 등지에 해수가 범람했다. 태풍은 강풍과 함께 8m 높이의 파도를 몰고왔다.마침 만조시간에 들이닥친 파도는 방파제를 넘어 공원 광장과 주차장을 물바다로 만들었다. 강구면 해안가의 고압 송전 전봇대 2개가 송두리째 넘어졌다. 또 영덕군 전체 정전이 발생해 1만 6천여 가구의주민들이 불편을 겪었다. 이동통신 기지국이 태풍으로 고장 나면서 수시간 동안 휴대전화의 통신이 두절되기도 했다. 해파랑 공원의주요 시설물과 잔디광장 등도 부서지거나 유실됐다. 20여 개상가의 수족관이 물에 잠기고 일부 상가의 어류가 폐사했다.해파랑 공원 인근 상인 김모씨(60)는 “지난 2016년 약 370억 원의예산을 투입해 해안과 바다를 매립해 조성한 공원으로 인해 파도가 중첩되면서 이번 피해를 키웠다”며 “월파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박윤식기자 newsyd@kbmaeil.com

2020-09-03

태풍 마이삭, 대구경북 관통에 피해 속출

태풍 ‘마이삭’이 대구·경북지역을 관통하면서 크고 작은 피해가 속출했다. 태풍이 지나면서 많게는 최대 300mm의 폭우와 초속 20m의 강풍이 불었다. 이 때문에 대구·경북 곳곳에서 나무가 부러지거나, 뿌리째 뽑히기도 했다. 또 건물 외벽과 간판, 버스정류소 부스, 공중전화부스 등이 떨어져 나갔다. 대구 효목동 2천500가구와 경북 포항과 영덕 등 6개 시․군 2만1천737가구에서 잇따라 정전사고가 발생했다. 대구·경북의 피해 신고 건수는 현재 300여 건으로 계속 늘고 있다. 마이삭의 위력은 3일 새벽 3시쯤부터 한 시간 반 동안 절정을 보였다. 태풍 상륙 당시 역대급 강풍이 불다 보니 경북 동해안 바닷가 인근 곳곳에서 피해가 속출했다.철제로 된 간판이나 문이 아예 뽑힌 곳은 일일이 세기 어려울 만큼 많았다.공중전화 부스가 넘어지고 철문이 부서지거나 공사현장 가림막이 무너져 내린 곳도 상당했다.유리로 된 문이나 간판이 부서지면서 도로 위를 날아다니고 있어 매우 위험한 상황을 연출했다.새벽부터 시장 내 일부 상점에 물이 차 양수기로 물을 빼내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신호등은 태풍의 영향으로 꺼져 있었고, 중앙분리대가 파손된 곳도 많아 도로 곳곳이 제 기능을 못 하고 있다.시내에는 정전이 발생해 상점이나 도로 전체가 잘 보이지 않는 곳도 많았다. 날이 밝으면서 복구 작업이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도로가 침수돼 경찰이 차량 진입을 통제하는 곳도 여러 곳 있다. 대구 도심을 가로지는 신천동로 일부도 물에 잠기면서 통제됐다. 태풍은 이날 오전 6시 30분 강원도 동해시 앞바다를 통해 동해안으로 빠져 나갔다. 새벽 2시 20분 부산 남서쪽 해안에 상륙한 태풍 마이삭은 시속 60㎞안팎의 매우 빠른 속도로 경상도를 관통한 뒤 강원도 동해안 쪽으로 이동했다. 아직까지 구체적인 피해 집계는 정확히 파악되지 않고 있다. 대구시 교육청은 태풍 피해를 우려해 초·중·고교의 등교 시간을 오전 10시로 조정했다. 60대 이 모 택시운전기사(포항 양덕동)는 “오늘 새벽 3시10분께 아파트 유리문을 흔드는 바람소리에 잠에서 깨어나 거실에 나가니 유리문이 바람에 깨어질 것 같아 한동안 문을 붙잡고 있어야 했다. 오후 6시가 지나 택시를 운행하니 포항시내 일부 버스정류소 부스가 파손되고 상가 간판이 떨어져 나뒹구는 등 흡사 전쟁터와 같았다”고 말했다. 울진 후포에서 횟집을 운영하는 50대 이 모씨는 “강풍과 높은 파도에 해상 가두리 양식장이 초토화 됐을 것 같다. 수확을 앞둔 과일과 고추, 가지 등의 피해도 심할 것 같다”고 걱정했다. 포항시 관계자는 “해상 가두리 양식장 피해가 상당할 것”이라며 “해상의 높은 파도로 어선 출항을 못해 확인을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상청 관계자는 “강원과 영남에서는 지금 바람이 강하게 불고 있으며, 오후까지 강풍이 계속 되겠다”며 “동해상은 가장 태풍의 영향에서 늦게 벗어나면서 오늘도 물결이 최대 12m까지 높게 일겠다. 천문조에 의해 바닷물의 높이가 높은 기간이다. 해안가에서는 폭풍 해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9호 태풍 '마이삭'에 이어 10호 태풍 '하이선'도 우리나라를 향해 북상하고 있다.6일 제주와 일본 가고시마 사이를 지나 7일 오전 남해안에 상륙할 것으로 보인다.아직 진로는 유동적이지만 남쪽에서 북쪽 방향으로 한반도 중앙을 관통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예상된다. /사회부.경북부 종합

2020-09-03

포항 죽도어시장 폐수처리시설 저수조서 50대 수협직원 숨진 채 발견… 질식사 추정

포항에서 폐수처리시설을 점검 중이던 근로자가 숨진 채 발견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30일 포항북부경찰서에 따르면 지난 29일 오후 4시 30분께 포항시 북구 죽도동 포항수협 위판장 지하 폐수시설 저수조에서 포항수협 소속 직원 A씨(57)가 숨진 채 발견됐다.동료 직원 B씨(63)는 A씨가 1시간이 넘도록 사무실로 복귀하지 않자 현장을 찾았고, 그곳에서 의식을 잃은 채 쓰러져 있는 A씨를 목격해 119에 신고했다.해당 저수조는 죽도어시장에서 발생하는 폐수를 저장하는 탱크로 지름 4.5m, 높이 5.5m에 이른다.사고 당시 A씨는 저수조에서 혼자 설비점검을 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A씨의 정확한 사망 원인 파악을 위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부검을 의뢰한 상태다.경찰 관계자는 “당시 저수조 탱크에 1m 정도의 폐수가 있었고, 황화수소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100ppm 정도였다”며 “사망원인은 황화수소 중독으로 인한 질식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밝혔다.한편, 밀폐된 공간에서 저농도(3∼5ppm)의 황화수소에 노출되면 눈과 호흡기 점막이 자극돼 통증이 발생하지만, 농도가 20∼30ppm에 달하면 후각이 마비돼 냄새에 익숙해진다. 농도가 100∼300ppm일 경우 노출 2∼15분 내 신경이 마비돼 질식사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이시라기자 sira115@kbmaeil.com

2020-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