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0.25%p 내리자 예·적금 최대 1.9%p ↓<br>코픽스 연동 대출금리 고작 0.02~0.09%p만 인하
시중은행들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조치 이후 예·적금 금리는 무더기로 내리면서도 대출금리는 최소한으로 인하해 장삿속을 드러내고 있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지난 14일 기준금리를 종전의 연 2.50%에서 연 2.25%로 0.25%포인트 인하한 후 예·적금 금리를 인하하는 은행들이 잇따르고 있다.
농협중앙회 소속인 농협은행은 큰만족실세예금의 금리를 기존연 2.4%에서 연 2.05%로 0.35%포인트나 내렸다. 서민들을 위한 상품인 주택청약예금과 주택청약부금도 각각 0.3%포인트 인하했다.
우리은행은 개인고객들을 위한 수시입출금식 예금 13종과 기업고객 대상 예금 3종의 금리를 무더기로 인하해 다음달부터 적용한다.
기업AMA통장의 경우 기존 연 1.5~2.2%에서 연 0.3%로 금리를 무려 1.2~1.9%포인트나 인하한다.
또 월 20~30회의 자동이체·입출금 수수료를 면제해 주던 혜택을 월 10회로 줄였다.
우리은행은 주택청약정기예금과 장기주택마련저축의 금리도 최대 0.5%포인트 인하했다.
한국씨티은행은 정기적금인 `원더풀라이프 적금`의 기본금리를 기존 연 2.3%에서 연 1.9%로 0.4%포인트나 내렸다.
한국스탠다드차타드(SC)은행도 대표 수신상품인 `마이심플통장`과 `두드림통장`의 금리를 각각 0.4%포인트, 0.3%포인트 낮췄다.
신한은행, 우리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이 일반 예·적금 상품의 금리를 조만간 인하할 예정이다.
반면, 대출금리 인하는 미미한 수준이다.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시중은행 중 신한은행이 `금리안전모기지론`의 금리를 기준금리 인하 폭과 같은 0.25%포인트 인하했을 뿐이다.
나머지 은행은 대부분 주택담보대출의 기준 금리로 이용되는 코픽스 연동 대출의 금리를 고작 0.02~0.09%포인트 내리는 데 그쳤다.
전문가들은 “우대금리나 고객 혜택은 시장금리와 상관없는데도 은행들이 기준금리 인하를 빌미로 이들 혜택을 대폭 축소했다”면서“예·적금 금리의 무더기 인하는 시장금리의 변화를 반영했다기보다는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은행들의 장사속”이라고 비판했다.
/고세리기자
manutd20@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