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측의 계속되는 입장 번복에 외환銀 직원들 피로감 호소<br> 통합이사회 연기 두고 ‘정부 눈치 보기’ 의혹 제기되어 눈길
하나·외환 조기통합에 대한 사측의 입장 번복이 계속되고 있다.
양 행의 조기통합 갈등은 지난 7월, 하나금융지주 김정태 회장이 공식석상에서 ‘조기통합’을 거론하면서 시작되었다. 이는 외환은행의 5년 독립 경영을 보장하는 2.17 합의서의 내용에 전면적으로 반하는 행위로, 현재까지 이어지는 갈등의 원인이다.
김 회장의 발언 이후 사측은 직원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양 은행장이 ‘통합을 위한 선언문’을 발표하는 등 강경한 태도를 보여 왔다. 하지만 돌연, ‘직원들과의 대화’를 이유로 통합이사회를 연기하는 등 조기통합에 대한 입장을 한 차례 번복했다. 이후에도 9.3 총회에 참석한 직원들에게 대규모 징계를 예고하거나 노조와의 긴급 협의회에도 불쾌감을 드러냈다가, 돌연 통합이사회를 다시 연기하며 ‘대화’라는 이유를 내세우고 있다.
이 같은 사측의 태도에 직원들은 혼란스럽다는 반응이다. 한 외환은행 직원은 “사측이 긴급 협의회에 참석한다고 해 징계 철회를 기대했지만 아니었다. 오히려 조기통합을 강요하는 모습에 실망했는데 이제와 다시 통합이사회를 연기한다고 해 당황스럽다.”는 의견을 밝혔다. 이사회가 두 번이나 연기되는 동안, 사측의 태도에는 전혀 변화가 없고 징계 철회의 의지도 보이지 않아 직원들의 내부 신뢰도가 무너지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 같은 사측의 태도 변화가 시기적으로 정부기관의 감시와 맞물려있다는 것에 대해서도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사측이 그동안의 강압적 행동을 버리고 직원 친화적인 태도를 취한 것은, 카드분사승인 신청과 국정감사를 앞둔 시기와 미묘하게 겹쳐있다. 이에 외환은행 노조 관계자는 ‘사측이 갑자기 대화를 운운하고는 정부의 감시가 끝나면 다시 태도를 바꾸는 등 비겁한 행동을 취하고 있다.’며, ‘그들이 중요하게 여겨야하는 대상은 직원이 아니라 정부인 모양’이라며 비판의 날을 세웠다.
한 편, 정치계에서는 적극적으로 이번 사태에 나서며 사측을 압박하고 있다.
지난 7일, 김기준·박원석 의원 등 환노위, 정무위 소속 국회의원 11명은 외환은행 불법부당 징계 중단 촉구서를 금융위원장, 고용노동부장관, 검찰총장에 전달했다. 이들은 촉구서에서 “외환은행 사측이 조기 통합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노사정 합의 사항을 위반하고 있다.”며 “명백한 사측의 탄압 행위를 관계당국이 나서 즉각 중단시켜야 한다.”고 강하게 주장했다. 또한 이번 국정감사에 김한조 외환은행장을 증인으로 신청하는 등, 정무위와 환노위가 양 행의 갈등 상황을 주요 쟁점으로 삼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에 15일 시작되는 금융위 국정감사에서 하나·외환 조기통합 사안은 주요 쟁점으로 회부될 예정이다.
정치계의 압박으로 사측이 계속해서 입장을 번복하고 있다. 대화와 강압적 태도를 번갈아 취해가며 혼란을 부추기는 사측의 태도에 직원들은 지쳐가고 있는 모양새다. 신뢰의 금융권에서 이 같은 사측의 태도는 스스로의 신뢰도를 떨어트리는 행동이 아닐 수 없다. 국정감사 이후 사측이 다시 한 번 입장을 번복할 것인지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뉴미디어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