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지점 협의회 일정 中 ‘위기극복을 위한 통합의 당위성과 효과’ 커리큘럼 포함돼<br> ‘직급별로 조기통합 찬성 의견 조사하라는 사측의 요구 부적절해…’ 지적 이어져
외환은행 사측에서 조기통합에 대한 직원들의 동의서를 받아내려는 움직임이 사실로 드러났다. 이는 환경노동위원회와 정무위원회 국정감사를 통해 사측의 부당노동행위가 집중 포화를 맞고 있는 가운데 포착되어 더욱 충격을 주고 있다.
지난 15일 개최된 금융위원회 관련 정무위 국정감사에서, 새정치민주연합 한명숙 의원은 ‘외환은행 사측에서 워크샵으로 포장된 조기통합 강요를 벌이고 있다.’ 라고 발언했다. 실제로 외환은행은 17일 금요일, 전국 부점장들이 모인 가운데 단합을 위한 워크샵을 개최한다. 이 워크샵에는 전국 각 지점의 부점장들이 대거 참석할 예정이다.
한명숙 의원이 지적한 부분은 이 이후의 예고된 일정이다. 한 의원은 ‘사측에서 워크샵 이후 두 시간 가량의 부점장 협의회동안 조기통합에 대한 동의서 제출을 요구하려한다’고 주장했다. 한 의원은 이어 ‘이렇게 직급별로 다 모인 가운데 찬성 의견을 묻는다면, 반대 의견을 갖고 있더라도 혼자서 목소리를 내기 힘들 것’ 이라고 말하며 명백한 사측의 위협적‧강제적 행위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이에 대한 증거는 이미 드러나 있는 상황이다. 한명숙 의원의 의혹 제기 이후, 외환은행 노조 측에서는 이에 대한 사측의 행 내 공지를 증거로 제공했다. 노조 측으로부터 제공된 사진자료에는 ‘위기극복을 위한 통합의 당위성과 효과’라는 교육 커리큘럼이 예정되어 있다. 이는 현재 양 행이 처한 상황을 ‘위기극복’으로 표현함으로써 직원들의 불안감을 조성하는 부적절한 행동이며, 그것을 통합의 당위성으로 연결시키려는 것도 논리적으로 맞지 않다는 주장이다.
한 외환은행 노조 관계자는 “한명숙 의원이 제기한대로 사측이 워크샵을 통해 직원들에게 조기통합을 강요하려는 정황이 포착되었다. 이는 직원들을 불러 모아 강압적인 분위기에서 동의서를 받아내려는 졸렬한 수법이다.”라고 비판했다.
의혹을 제기했던 한명숙 의원 역시, 지점별 소통행사라는 명분으로 직원들의 성향을 파악‧분류하는 행위는 부당하다고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차장 이하 휴직원까지 포함해 조기통합 찬성 비율을 조사하여 지점별로 보고하라는 요구는, 그것을 평가에 반영하겠다는 말이 아니냐는 지적이다.
국정감사는 국회가 국정 전반에 관한 조사를 행하는 자리다. 국회가 정부를 감시‧비판하는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가 당연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하지만 외환은행 사측의 행동은 이에 전면적으로 반하는 행동이며, 이는 국회의 권위에 대해 도전하는 행위로 비쳐질 수 있어 경솔하다는 의견이 많다.
김승유 前하나금융회장의 위증과 사측의 부당노동행위 근거들이 연이어 밝혀지며 하나금융그룹은 곤란에 빠진 상황이다. 하지만, 이에 대한 압박이 반성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눈속임으로 계속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의견이다. 조기통합에 대해 직원들과의 갈등이 길어지며 조급함을 더해가는 사측이, ‘은행의 미래를 위해’라고 주장하던 초심을 잃어버린 것이 아닐까 염려되는 바이다. /뉴미디어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