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국내 시장이 공급부족 상태였던 2008년(1천431만t 수입) 이후 6년 만에 가장 많은 수준이다.
반면 일본산은 731만t이 수입돼 2013년보다 5.3% 줄었다.
철강협회는 중국산의 수입 급증이 국내 수요에 따른 것이 아니라 중국 내 공급과잉과 증치세(부가가치세) 환급정책의 편법 악용 등 중국 내부의 요인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이창형기자 chlee@kbmaeil.com
이창형기자
chlee@kbmaeil.com
다른기사 보기
경제 기사리스트
경북産 전통주, 우리술 품평회서 최고 영예···영양·김천 수상
일본 쌀값 급등에··· 한국산 쌀, 수출 26배 ‘껑충’
자동차 보험수리 부품 ‘강제 교체’ 논란···정비업계·소비자단체 “비용 전가·안전 우려”
경주·팔공산 국립공원길, 여름철 가족 관광지로 ‘주목’
“최적 출강스케줄 편성해 공정 효율성·제품 품질 향상 기여”
최고 분양가 ‘포항자이애서턴’ 입주 전 진입도로 개설 불투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