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 적응력·팀워크 등<BR>인성·잠재력·가치관 중시
국내 금융권이 올해 최대 규모의 신규채용에 나서면서`열린채용`과 `탈(脫)스펙`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채용방식의 대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올해 대졸 350명, 특성화고 졸업예정자 70명, 장애·보훈 특별채용 80명, 경력단절여성 280명, 시간선택제 전담 관리직 220명 등 총 1천여명의 채용을 실시할 계획이다.
이는 지난해 대비 2배 가까이 늘어난 규모로, 대졸 상반기 채용과 특성화고 졸업예정자 채용은 다음달 중순, 장애·보훈 특별채용은 5월 중순에 채용공고를 낸다. 경력단절여성은 상반기 130명에 이어 하반기에도 150명의 채용공고를 낼 예정이다.
국민은행도 지난해 355명이었던 채용 규모를 올해는 2배가 훨씬 넘는 수준으로 늘려 총 800여명을 채용한다.대졸 신입사원은 상반기에 100여명, 하반기에 300여명을 각각 채용할 계획이다.
기업은행도 올해 신입사원 채용 규모를 지난해 220명의 2배 가까운 수준인 400명으로 대폭 확대하고, 우리은행도 지난해 전체 총 500명가량이었던 채용 인원을 올해 상당폭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금융권은 대규모 신규채용과 함께 공채 과정에서 지원자의 고객과 의사소통 능력과 윤리의식 등 기본 인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채용방식 변경을 예고했다. 스펙을 나열한 지원서로 1차 대상자를 걸러 면접을 보는 고전적인 채용방식 대신 다양한 방식으로 지원자의 인성과 잠재능력을 평가하는 채용 형태로 변모하는 것이다.
국민은행은 지원자의 학력과 자격증 등 획일화된 스펙이 아닌 `현장 맞춤형 인재` 채용을 목표로 삼았다.
지방의 우수한 인력을 채용하기 위해 처음으로 채용관이 지역을 직접 방문해 면접을 진행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특성화고 채용 비중도 더욱 확대하기로 했다.
우리은행은 올해 채용부터 `위(We) 크루팅` 제도를 도입했다. 인사담당자들이 전국을 돌며 채용설명회를 하고 현장에서 면접도 보는 방식이다.
/이창형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