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국정화` 앞당겨 고시<BR>오늘 집필진 구성기준 발표
교육부는 3일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등학교 교과용 도서의 국·검·인정 구분을 확정고시하고 국사편찬위원회를 책임기관으로 지정했다.
<관련기사 2, 3면> 2017년부터 국정으로 전환하는 중·고등학교 역사 교과서 집필진을 어떻게 구성하고 어떤 기준으로 편찬할지는 국사편찬위원회가 4일 별도로 발표한다.
이번 확정고시를 통해 중학교 `역사`와 고등학교 `한국사` 과목은 검정에서 국정으로 전환됐다. 고등학교 `동아시아사`와 `세계사` 과목은 검정으로 유지된다.
중학교 및 고등학교의 국가수준 평가인 대입 수능과 학업성취도 평가와 관련 있는 수학, 과학, 영어 교과서도 인정에서 검정으로 전환했다. 고등학교 신설 교과목인 `통합사회`, `통합과학`, `과학탐구실험`은 검정도서로 구분된다.
교육부는 지난달 12일 역사교과서 국정화 방침을 행정예고하고 2일까지 찬반 의견을 받았다. 5일 관보에 역사교과서 국정화 안을 확정고시할 계획이었지만 이틀 앞당겨졌다.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이날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한국사교과서 국정화 확정고시 직후 열린 언론 브리핑에서 “올바른 역사교과서가 친일과 독재를 미화하는 일은 결단코 있을 수 없음을 다시 한 번 약속드린다”고 밝혔다.
황 부총리는 “현행 역사교과서의 검정 발행 제도로는 올바른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이 정부의 판단”이라며 “역사교과서로 인한 사회적 혼란을 막고 역사교육을 정상화해 국민통합을 이루기 위해 국가 책임으로 올바른 역사교과서를 발행하기로 결정했다”고 덧붙였다.
/안재휘기자 ajh-777@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