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북동해안 전철화 `급물살`

임재현·이동구기자
등록일 2016-02-16 02:01 게재일 2016-02-16 1면
스크랩버튼
포항~영덕~동해 잇는 동해선 3차 국가철도망 반영<bR>도내 주민 기대감 폭증… 시·군 협력 롤모델 뜰 전망

포항~영덕~동해를 잇는 178.7㎞의 동해선(구 동해중부선)이 전철화를 내용으로 하는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16~2025)에 반영됐다.

이는 최근 대전광역시 소재 한국철도시설공단 대강당에서 한국교통연구원의 주최로 열린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16~2025)`공청회에서 공개된 것으로, 이에 따라 경북동해안에도 전철화시대 논의가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특히 전철화 신규사업에 포함된 동해선은 장래여건 변화 등이 있을 경우 강릉까지의 복선 전철화도 추가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분류돼 앞으로 이 사업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기대와 요구가 폭증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교통연구원과 한국철도시설공단은 이번 공청회에서 비전철화시 포항~삼척 간 운행시간은 1시간 17분정도 소요되나 전철화가 되면 50분 이내로 크게 단축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 경우 전철개통시 권역내 1일 관광은 물론 물류와 산업 상생 등 엄청난 변화가 예상된다. 한국철도시설공단에 따르면 현재 시공 중인 포항~삼척 간 철도 건설사업은 단선 비전철화로 2002년부터 계획해 1단계 사업인 포항~영덕구간은 공정률 95%로 2017년 상반기 개통 예정이며, 2단계 사업구간인 영덕~삼척은 2020년 개통을 목표로 박차를 가하고 있다.`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16~2025)`공청회에서 나온 동해선 전철화는 현재 포항-삼척간 철도는 비전철 시스템으로 사업이 추진중이지만 장래에는 이를 전철화, KTX통행이 가능케 한다는 것이 골자다.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은 철도건설법 제4조에 따라 철도를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정부의 10년 단위의 중단기로 수립하고 있으며 철도의 중장기 건설계획, 다른 교통수단과의 연계교통체계의 구축, 소요재원의 조달방안, 환경 친화적인 철도 건설방안 등이 들어 있다. 국토교통부에서는 그동안 전국의 각 지자체가 제출한 101개 사업에 대해 지난해 3월부터 연구용역을 진행해 왔다.

경북도 관계자는 “철도청을 포함 정부는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이 상반기 중 최종 확정되면 2017년부터 예비타당성조사를 시행하고,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을 거쳐 2020년 개통 예정인 포항~삼척간 철도건설 사업과 병행 추진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밝혔다. 동해선 전철화 부분이 공청회 등에서 논의가 본격화되자 경북동해안 주민들은 크게 반기며 이 사업이 조기 추진될 수 있도록 역량을 모아야 한다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또 포항시와 영덕,울진군이 모처럼 특정사업에 힘을 모아 일궈낸 성과라며 이번에 경북동해안이 공동대처해 일궈낸 결실은 향후 상생발전을 도모하는데 있어서도 하나의 룰모델로서도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평가했다.

포항시와 영덕,울진군은 그동안 통일시대를 대비하려면 통합철도망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시 동해선에 전철이 반드시 통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꾸준히 정부 등에 건의하며 힘을 모아왔다. 포항시와 영덕,울진군 담당자는 “동해선 전철화 본격화는 지역의 이병석, 강석호, 박명재 국회의원께서 전방위적으로 지원하고 포항, 영덕, 울진 단체장들이 수없이 철도청 등 중앙부처를 찾아다니며 설득하고 이해시킨 결과물”이라며 앞으로 이 사업의 착공까지 할일이 많은 만큼 지역사회와 지역주민 등의 역할이 무엇보다 요구되고 있다며 각별한 관심 등을 당부했다.

/임재현·이동구기자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