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우양미술관 21일부터<BR>초기작~대형설치작품 60여점 전시<BR>반세기 작품 세계 총망라한 회고전
경주 우양미술관이 21일부터 9월 30일까지 2, 3전시실에서 한국 추상미술계의 거두 서양화가 전광영(71) 화백의 개인전을 연다.
한국 미술계의 중추 역할을 해온 중진 원로 작가들을 지원하는`우양작가시리즈`의 일환으로 마련한 이번 전시회는 전 화백의 초기작품부터 대형 설치작품까지 반세기 동안 펼쳐온 작품 세계를 총망라하는 회고전으로 꾸며진다.
우양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작품을 포함해 총 60여 점의 작품이 선보이는데 3년만에 국내에서 개최하는 개인전이어서 더욱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오랜 해외 활동 중에도 국내화단과의 조우를 그리워했다는 전 화백은 60년대 후반 도미해 선보이기 시작한 추상표현주의 작업 중 미공개 됐던 작품 8점과 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 작품 중 현존하지 않는 10여 점을 재제작 하는 열정을 더해 작가의 시기별 작품을 골고루 선보인다. 2014년 이후 감각적인 색채의 신작과 고서(古書) 한지로 포장된 유닛(unit)이 아닌 색점으로 구성된 새로운 시도의 작품 등 12여 점의 국내 미공개 신작들도 함께 감상할 수 있다.
전 화백은 작품에 사용하는 매체에서나 작업 방식에 있어서 독자적인 세계를 구축하고 있다. 그의 작품은 수공적이면서도 구조적이고, 평면이면서도 입체다. 얼핏 보기에는 정적이지만 들여다보면 볼수록 역동적인 파워가 느껴진다. 작품을 구성하는 구조물들은 스티로폼을 잘라만든 삼각형을 고서 한지로 싸고 이를 다시 같은 한지로 꼰 끈으로 묶은 것이다. 이런 수천, 수만개의 개체들이 다양한 형태의 집합 구조물을 형성한다. 작가는 1995년 이래 다양한 형태의`집합` 연작을 발표해 왔다.
그는 국내 작가 중 해외 전시와 아트 페어에서 가장 활발한 활동을 보이는 작가 중의 한 명으로 꼽힌다. 호주의 고등학교 미술교과서에는 한국 현대미술의 대표작가로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그가 자신만의 독특한 조형세계를 발견하고, 명실 공히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한국 대표작가로 우뚝 서기까지 걸어 온 길은 결코 순탄치 않았다. 미술대학을 나와 작업에만 몰두해 온 그가 대중들에게, 그리고 해외 갤러리와 아트 콜렉터들에게 이름을 알리기 시작한 것은 쉰살이 넘어서 였다. 한지라는 소재를 사용해 만든 작품으로 1995년 LA인터내셔널에 진출한 후 관심을 모으기 시작한 그의 작품은 1998년 시카고아트페어에서 매진기록을 세웠다. 지금은 해외 미술관에서 끊임없이 러브콜을 받고 있는 인기작가로 꼽힌다.
강원도 홍천 출신인 그는 아시아적 정체성과 서구적 근대성의 틈에서 방황했던 자전적인 갈등과 충돌의 이야기를 시각적으로 승화시켜왔다. 69년 도미해 추상표현주의 작품에 매료됐지만 현실에 대한 회의 등으로 77년 다시 귀국해 자신만의 정체성을 모색하는 시기를 가는다. 초기작인 7~80년대 추상작업은 화학성분을 바르지 않은 캔버스에 테잎 또는 짧고 길쭉한 종이들을 흩뿌린 뒤에 혼합한 날염안료를 드리핑(dripping)한 후 이를 떼어내어 흔적을 남기는 과정을 반복한 독특한 작업과정을 통해 나탄관 결과물들이었다. 작업을 시작한 지 20여년 만인 94년부터는 추상표현주의적 작업을 과감히 접고 `한지로 싸서 끈으로 동여맨 삼각조각`으로 새로운 조형성을 추구하기 시작한다. 이후 90~2000년대에 걸쳐 삼각 유닛을 재배치하고 구조화 하는 다양한 시도로, 평면회화도 부조조각도 아닌 새로운 영역을 개척한다. 캔버스 자체를 변형시키거나 고서 한지의 색채에서 나아가 오미자, 구기자, 치자, 쑥을 태운 재 등을 사용한 자연염색으로 다채로운 색에 대한 연구가 시도됐다. 2000년대 후반으로 접어들면서 평면적 부조 속에 심연의 웅덩이와 같은 공간감을 추구하는 작품들이 등장하고 나아가 3차원의 대형 입체 설치 작업들로 본격적인 `공간`에 대한 탐구를 시작한다. 이어 점차 4차원 이상의 시간성과 역사성까지 시각화 했다.
전광영 화백의 작품은 예일대 코네티컷, 빅토리아알버튼미술관, UN본부, 록펠러재단, 호주국립현대미술관, 몰타국립현대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등 국내외 유명 미술관과 기관 등에 소장돼 있다. 문의 (054)745-7075.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