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지역 미술계 `온고지신`의 삶과 예술을 엿보다

윤희정기자
등록일 2016-06-27 02:01 게재일 2016-06-27 13면
스크랩버튼
대구문예회관 29일~내달 17일<BR>김익수·신지식·서규원<BR>원로작가 3인 회고전
▲ 서규원 作 `장길`

대구문화예술회관은 오는 29일부터 다음 달 17일까지 1~3전시실에서 김익수·신지식·서규원 작가를 초대해 `원로작가 회고전`을 연다.

이 전시는 원로, 청년, 중견으로 세대별 지역 작가들을 집중적으로 조명하고자 만든 `DAC 작가시리즈` 첫 번째 기획이며, 지역 미술계를 형성한 원로작가의 삶과 예술을 통해 과거에서 오늘날로 이어진 예술을 돌아보고자 마련됐다.

세 작가 모두 1938년생으로 지역에서 미술대학이 잇따라 설립되고 예술단체 조직이 정비되던 시기인 1960~1970년대에 주로 활동했다.

김익수(조소) 작가는 영남대 교수로 재직했으며 학창시절부터 인체에 대한 관심을 가졌고 그러한 연구는 이후 회화에서 입체 조소작업으로 이어진다. 선생은 교육자로서 역할과 사명감을 가지고 영남대학교 조소과를 분리 독립시켜 해당분야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고, 조각가의 시각에서 본 석굴암 연구에서도 큰 업적을 남겼다. 조각 작업 초기에는 재료연구를 했고, 1980년대초에는 현실의 부조리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억압된 형상으로 작품에 표현하였다. 1990년대 중반 이후에는 `여명 시리즈` 등 희망과 기원의 메시지를 작품에 담고 있다.

▲ 김익수 作 `여인좌상`
▲ 김익수 作 `여인좌상`

신지식(판화) 작가는 계명대 교수로 재직해 예술 교육의 방향과 체계를 세웠다. 예술 행정가로서 미술협회와 대학행정에도 많은 공헌을 했다. 1977년에는 경북도전에 판화분과를 만들어 판화의 저변을 확대하는 데 노력했다. 판화 장르가 부각되지 않았던 1970년대 말부터 콜라그래프(collagraphy)를 시작해 1980년대 초에는 동판화의 기법을 시도했다. 그의 판화는 기하학적인 조직성과 구성미를 보여주는데, 이에 대해 정점식 선생은 “자연미와 기학학적인 조형의 대립과 조화는 `생명의 원리이며 창조의 역학적인 작용`이다”고 평가했다.

서규원(사진) 작가는 대구사진가협회, 대구예총 등 예술인 단체 운영에 관여했다. 사광회에 참가했고, 생활 사진과 `양`과 `학` 시리즈로 각종 국내외 공모전에서 입상하면서 작품 활동을 이어나갔다. 작품 대부분에서는 `고향`이나 `삶`을 주제로 그리움이나 생의 아름다움을 탐색했고, 1980년대 초 양 사진은 지리산의 원시 자연을 배경으로 목가적인 영상을 담아 많은 호평을 받았다.

이번 전시회는 작가별로 30점 안팎의 대표작을 소개한다.

입장료는 무료. 전시 기간 매일 오전 11시, 오후 2·4시에 도슨트 설명이 있다. 문의 (053)606-6152.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