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포스코 “외국인 포함, 회장 후보군 다양화”

김명득기자
등록일 2018-04-30 21:11 게재일 2018-04-30 11면
스크랩버튼
CEO 카운슬 첫 회의<br />이사회 수용땐 가능성<br />‘국민기업 이미지 훼손’  <br />반대·회의론도<br />

포스코에 첫 외국인 회장이 탄생할까.

포스코 역대 회장 8명 가운데 외부 인사는 김만제 전 회장이 유일했을뿐 외국인은 없었다.

하지만 제프리 존스 주한미국상공회의소 이사장과 제임스 비모스키 전 두산 부회장 등이 포스코 사외이사로 참여해 중요한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한 바 있어 사외이사와 이사회가 후보군에 이를 수용한다면 전혀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29일 재계에 따르면 포스코 사외이사와 이사회가 외국인 회장을 선출할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점쳐지고 있다는 것.

역대 회장들이 정치적 외풍에 시달리고 정권과 불화를 겪으며 임기를 다 채우지 못하고 물러난 데 따른 불가피한 대안이라는 설명이다.

포스코가 세계 5위 수준의 글로벌 철강회사인 데다 무역(포스코대우), 건설(포스코건설), 에너지(포스코에너지) 등 그룹 사업 대부분이 해외 비중이 높다는 점도 외국인 CEO 선출 가능성에 무게를 싣고 있다.

포스코의 최대주주는 지분 10.8%를 보유한 국민연금이지만 외국인 주주가 절반 이상인 57.6%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도 이를 뒷받침하는 대목이다.

특히 정치권의 외압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주주와 시장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과 글로벌 시장의 영업과 마케팅에서 외국인 CEO의 유리한 점 등이 승계 카운슬에서 어느 정도 반영되느냐에 달린 것이다.

실제로 포스코 회장 후보군을 발굴하는 CEO 승계 카운슬은 지난 23일 1차 회의를 열고 새 회장에게 요구되는 제1의 자격으로 ‘세계 경제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글로벌 경영역량’을 꼽았다.

또 승계 카운슬은 이날 회의에서 “외국인 후보를 포함해 후보군을 다양화하기로 했다”고 밝힌 대목도 이를 시사한다. 포스코 새 회장으로 외국인 후보가 공식적으로 거론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하지만 외국인 회장 선출에 대한 반감 또는 회의론도 만만찮다. 무엇보다 포스코가 일제의 식민지 지배에 대한 대일청구보상금을 종잣돈으로 해 세워진 ‘국민 기업’이라는 점 때문이다. 사외이사들이나 이사회가 새 회장을 선출하면서 국민정서를 무시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결국 국민정서에 맞지 않다는 반대론과 글로법 기업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하는데 외국인이 유리하다는 점이 이번 선출과정에서의 최대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김명득기자 mdkim@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