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바지·캐주얼 정장 순<br />
‘정장을 갖춰 입는다’는 응답은 ‘티셔츠’에도 밀려 8위에 그쳤다. 이는 기업들의 조직문화가 보다 자유롭고 개방적으로 변하고 있다는 신호로 받아들여 진다.
잡코리아는 최근 직장인 1천117명을 대상으로 ‘출근복장’을 주제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설문조사에서 직장인들은 평소 출근할 때 가장 많이 입는 옷으로 ‘청바지(51.5%, 응답률, 복수응답결과)’를 꼽았다. 2위는 ‘면바지(29.9%)’, 3위는 ‘캐주얼 정장(26.1%)’이 차지한 가운데, ‘남방(20.6%)’, ‘원피스(18.8 %)’, ‘티셔츠(18.4%)’ 등 비교적 편한 옷차림이 순위를 이었다. 드라마, 영화 등에서 직장인들의 표현하는 전형적인 차림인 ‘정장’을 주로 입는다는 답변은 14.7%의 응답률을 얻는 데 그쳐 8위로 나타났다.
정장을 입는다는 응답은 여성(10.6%)보다는 남성(19.7%)이, 직급별로는 부장급에서 19.6%로 가장 높았다. 또 재직 기업 형태별로는 공기업이 30.9%, 대기업이 26.9%로 높게 나타났으며, 중소기업 직장인은 10.7%로 상대적으로 정장을 덜 입고 있었다. 직무에 따라서는 경영/사무직(23.2%), 무역/영업(17.0%)에 종사하는 직장인들이 정장을 입는다는 응답이 높았다.
실제로 회사에 근무복장에 대한 제한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절반을 웃도는 52.0%의 직장인이 ‘전혀 제한 없이 자유롭게 입는다’고 답했다. ‘엄격한 복장 규정이나 제한이 있다’는 응답은 11.9%에 그쳤으며, ‘특정 직군이나 복장 등 암묵적인 제한이 있다’는 응답이 36.1%를 차지했다.
한편 직장인들은 사무실에서 입으면 곤란한 근무복장으로 노출이 심하거나 민망한 옷을 주로 꼽았다.
/김명득기자 mdkim@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