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근로자 3% 감소<br />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8일 발표한 ‘세대간 일자리 양극화 추이와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20대 임금근로자 수는 2007년 367만명에서 2017년 355만9천명으로 3.0% 감소한 반면 50대는 225만2천명에서 415만3천명으로 84.4% 증가했다.
근로자 수 기준으로 20대는 2012년까지 50대를 앞섰으나 2013년을 기점으로 역전돼 5년 연속 50대를 밑돌았다.
2013∼2017년 20대 근로자와 50대 근로자 간 격차는 17만1천명, 30만명, 42만2천명, 53만명, 59만4천명으로 더욱 벌어지고 있다.
인구 감소 추이를 고려해도 노동시장에서 20대의 입지가 좁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10년간 전체 인구에서 20대가 차지하는 비중이 16.9%에서 14.7%로 2.2%포인트 감소하는 동안 전체 근로자 중 20대의 비중은 23.1%에서 17.9%로 더욱 큰 폭(5.2%포인트)으로 줄었다.
같은 기간 50대는 인구 비중이 15.1%에서 18.9%로 3.8%포인트 증가했고, 근로자비중도 14.2%에서 20.9%로 6.7%포인트 늘었다.
일자리 질의 측면에서도 세대 간 격차가 더욱 확대됐다.
20대 근로자의 임금이 2007년 138만원에서 2017년 181만원으로 43만원 증가하는동안 50대는 186만원에서 271만원으로 86만원 늘었다.
50대의 임금증가액이 20대의 2배에 달한 것이다.
이에 따라 20대와 50대의 세대 간 상대 임금 격차(20대 임금수준을 100으로 볼 때)는 134.5에서 149.5로 더욱 벌어졌으며 임금수준 격차는 48만원에서 90만원으로 커졌다.
20대 근로자는 비정규직 비중이 2007년 31.2%에서 2017년 32.8%로 1.6%포인트 증가했다.
반대로 50대는 정규직 비중이 57.3%에서 66.2%로 8.9%포인트 늘었다.
같은 기간 20대 비정규직의 평균임금은 118만3천원에서 129만9천원으로 11만6천원 상승하는 데 그쳤으나 50대 정규직은 236만7천원에서 321만4천원으로 84만7천원이나 올랐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지난 10년간 전 연령에서 증가세를 보인 보건·사회복지업을제외하고 20대 근로자가 10만명 이상 늘어난 업종은 숙박·음식점업(21만5천명)이 유일했다.
2017년 기준으로 숙박·음식점업의 평균임금이 전 산업에서 가장 낮다는 점을 고려하면 20대가 저임금 일자리에 내몰리고 있다는 의미다.
반면에 50대 근로자는 제조업 43만명, 도·소매업 23만9천명 등 다양한 산업에서 골고루 증가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