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바른당 비례대표 ‘셀프 제명’ 손학규 1인 정당 전락할 판

김진호기자
등록일 2020-02-18 20:29 게재일 2020-02-19 3면
스크랩버튼
손학규 대표의 진퇴를 놓고 내홍을 겪어온 바른미래당이 18일 비례대표 9명을 제명함으로써 사실상 ‘자진해체’ 수순에 들어갔다.

바른미래당은 18일 오전 열린 의원총회에서 비례대표 의원 13명 중 9명을 제명했다. 4명의 지역구 의원도 곧 탈당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로써 2018년 2월 출범 당시 30석에 달했던 의석수는 2년 만에 8석으로 쪼그라들었고, 지역구 의원 탈당 후에는 4석으로 줄어든다.

현재 남은 박선숙·박주현·장정숙·채이배 의원 중 박주현·장정숙 의원은 각각 민주평화당과 대안신당에서 활동하고 있고, 박선숙 의원은 당 활동을 거의 하지 않고 있다.

채이배 의원은 손 대표에 대한 신뢰를 잃었다며 정책위의장직을 스스로 내려놓았다. 실제로 정상적인 당 활동이 가능한 의원은 거의 없어 거대 양당 구도에서 벗어나 다당제를 실현하겠다던 손 대표는 껍데기만 남은 당을 홀로 지키게 됐다.

바른미래당의 붕괴는 사실상 예상된 수순이었다. 지난해 4·13 재보궐 선거 참패 이후 ‘손학규 책임론’이 불거지면서 당권파와 비당권파로 나눠져 극심한 갈등을 겪었다.

당 내분 수습을 위해 출범한 혁신위원회는 열흘 만에 좌초했고, 비당권파 최고위원들이 회의 참석을 거부하면서 당 최고위원회도 무력화됐다.

유승민계·안철수계 의원들은 작년 9월 비당권파 모임 ‘변화와 혁신을 위한 비상행동’을 만들어 독자 행동에 나섰고, 결국 유승민계 의원들은 탈당해 지난달 새로운보수당을 창당했다.

안철수계 의원들은 당시에는 당에 남았지만, 올해 1월 안철수 전 의원이 귀국하자 국민의당(가칭) 창당에 나섰다.

김동철·박주선·주승용 등 호남 의원들과 임재훈·채이배 등 당권파 의원들은 여러 고비마다 손 대표를 감쌌지만, 안 전 의원마저 탈당하면서는 손 대표에게 등을 돌리기 시작했다.

이들의 퇴진 요구에 손 대표는 최고위원·사무총장직 박탈로 거부의 뜻을 명확히 하며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너고 말았다.

/김진호기자 kjh@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