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15일 후보군 8명 선출키로 결정… 대선 주자들 유불리 엇갈려<br/>與 지지층 결집 역선택 부작용 목소리 등 대선경선룰 전쟁 본격화
국민의힘 대선 경선룰을 둘러싼 전쟁이 본격화되고 있다.
국민의힘 경선준비위원회는 28일, 오는 9월 15일 1차 예비경선에서 국민 여론조사 100%로 후보군을 8명으로 압축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100% 여론조사로 1차 컷오프를 선출하고, 응답자의 지지정당도 묻지 않는 완전국민경선제에 가까운 방식으로 치르겠다는 얘기다. 서병수 경선준비위원장은 “역선택은 고려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국민 참여를 높여 경선 흥행을 도모하자는 취지이지만 야권 대선 주자별 유불리 셈법이 엇갈리고 있다. 국민 여론조사 100%가 결정되면, 당내 지지기반이 약하지만 인지도가 있는 후보에게 유리한 측면이 있다. 당내 지지기반이 취약한 최재형 전 감사원장이나 당외 주자로서 8월 입당설이 거론되고 있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을 위한 룰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 보수의 텃밭인 대구·경북(TK) 지역에서 지지율 1위를 달리고 있는 윤 전 총장 입장에선 당원투표 비중을 낮추고 여론조사를 높이는 경선룰은 유리하다.
이로 인해 당내 대권 주자들은 반발하고 있다. 국민의힘 홍준표(대구 수성을) 의원 측은 “아직 캠프 진용이 제대로 안 갖춰져서 예선 룰은 넘어가지만 본경선은 다르다”며 국민의힘 현행 대선 후보 경선 규정인 당원 투표 50%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 비율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홍 의원도 “대선 경선을 여론조사로 하는 나라가, 당 후보를 뽑는 데 당원 의사가 반영되지 않는 선거제도가 어디에 있나”라며 반대 의사를 분명히 밝혔다.
반면 최 전 원장 측은 “100% 여론조사 예선이나 당원 가입 문호 개방까지, 지도부의 방침을 존중한다”고 밝혔다.
국민 여론조사 100%에 대한 불만이 없을 뿐만 아니라 최 전 원장에서 유리하다는 판단을 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역선택 문제를 놓고도 야권 대선 주자들이 충돌할 것으로 보인다. 여권 지지층이 결집해 역선택할 경우 경선 결과가 왜곡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나아가 지역별 지지기반에 따라 입장이 엇갈릴 수도 있다.
이와 관련, 유승민계 한 의원은 “역선택 방지 조항을 적용할 경우 청년세대·무당층에서 확장력이 전혀 반영되지 않는 결과가 나올 수 있고, 이는 본선 경쟁력에 치명적”이라며 “4월 보선에서 확인한 민심을 역행하는 결과 아니냐”라고 말했다.
또 과반 득표자가 없으면 최종 투표를 치르는 결선투표제 도입 여부도 쟁점으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
범야권 지지율 1위를 달리고 있는 윤 전 총장 측이 반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윤 전 총장 측 관계자는 “집권여당이 아닌 야당 경선에서 결선투표를 실시한다고 해서 1위와 3위 자리가 뒤바뀌는 것은 아니다”며 “흥행을 좇다가 자칫 경쟁이 과열돼 ‘윤석열 때리기’로 변질할 수 있고, 이는 정권교체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