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낙동강 물싸움’ 재연… 치킨게임 되나

김락현기자
등록일 2022-08-09 20:20 게재일 2022-08-10 1면
스크랩버튼
홍준표 시장 “물 못 준다는 구미시장 말은 언어도단” 직격탄<br/>“대구취수원 다변화 반대 발언 안해” 반박 나선 김장호 시장  <br/>“시민·의회 동의없는 협정 실효성 없어” 물협정 재검토 시사<br/>“특단조치 강구할 수도” 洪 시장, 공격발언 이어가 갈등 고조

대구시와 구미시간의 ‘물 갈등’이 다시 불거지고 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구미 취수원 사용과 관련한 공격적인 발언을 이어가고 있고, 구미시가 즉각 반박하고 나서는 등 두 도시 간 감정 싸움으로 치닫고 있다.

특히 구미시는 지난 4월 체결된 ‘맑은 물 나눔과 상생발전에 관한 협정’의 실효성 문제를 제기하고 나서 취수원 갈등은 더욱 악화될 조짐이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지난 8일 대구 취수원 다변화 사업과 관련해 “(구미에서) 하류의 물을 오염시켜놓고 상류에 상수원을 좀 달라고 하니까 ‘된다, 안된다’고 하는데 그것은 언어도단이다”고 발언하며 구미시를 자극했다.


그러자 구미시는 9일 이에 대한 설명자료를 배포하며 맞받아쳤다. 구미시는 설명자료를 통해 “김장호 구미시장은 대구 취수원 다변화와 관련해 물을 공급하지 않겠다고 발언한 적이 없다”며 “지난 1일 구미시청에서 열린 취임 한 달 기자간담회에서 김 시장은 물은 모두의 공유자원으로 대구시민이든 구미시민이든 깨끗한 물을 먹어야 한다는 것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동의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지난 4월 국무조정실과 환경부, 경북도, 대구시, 구미시, 한국수자원공사가 체결한 ‘맑은 물 나눔과 상생발전에 관한 협정’(이하 협정)에 대해선 실효성이 없다며 선을 그었다.


구미시는 “이 협정은 협의정신 위반이고, 구미시민이나 시의회 동의없이 체결되었기 때문에 형식적 합의에 불과하다”며 “체결에 참여한 환경부장관, 대구시장, 구미시장이 현재 교체되었고, 경북도지사는 참석하지 않았기 때문에 실질적 실효성을 상실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심리적·정서적 동의를 거치지 않은 졸속합의이기 때문에 구미시민을 대변하는 구미시장으로서 이를 다시 검토해봐야 한다는 취지”라며 “지난 합의서에 따르면 상수원보호구역 지정으로 인한 구미지역 피해는 영원한데 보상에 대해서는 두루뭉술한 허점투성이다”고 지적했다.


무방류시스템 도입과 관련해서는 “수질과 수계관리를 책임지는 중앙정부인 환경부에서 추진해야 할 사항이라고 판단되며 지금도 구미시는 환경부 법령과 지침을 준수하면서 방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김장호 구미시장은 “깨끗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선 해평취수장에서 김천에서 흘러오는 감천지류의 상류로 취수원을 이전해야 한다. 이 방안은 대구시가 안동에서 물을 끌어오려는 비용보다도 적게 드는 만큼 가장 현실적 대안”이라고 설명했다.


김 시장은 또 정부의 협정 내용을 바꾸기 위해선 행정행위가 필요하다는 지적에 대해선 “협정 이후 환경부로부터 어떠한 연락도 받지 못했고, 수차례 언론을 통해 협정이 실효성이 없다고 밝혔었다. 그러함에도 행정행위가 필요하다면 오늘이라도 환경부에 취수원 상류 이전을 건의하는 공문을 발송하겠다”고 했다.


구미시장의 이러한 입장에도 불구하고 홍준표 대구시장은 취수원 이전 문제에 대해 더이상 물러설 뜻이 없음을 내비치고 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9일 자신의 SNS(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더 이상 일종의 원인 제공자에 의해 마냥 끌려다니는 그런 식의 물 문제 해법은 하지 않을 것”이라며 “앞으로 구미공단 내 모든 공장은 무방류시스템을 갖추거나 폐수 방류를 하지 못하도록 특단의 조치를 강구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한편, 환경부가 마련한 ‘낙동강 유역 안전한 먹는 물 공급체계 구축사업’은 지난 6월 30일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해 정부 사업으로 확정되면서 예산 98억원을 확보했다. 이에 환경부는 조만간 타당성 조사와 기본계획 수립 등 절차에 들어갈 예정이다.


구미/김락현기자 kimrh@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