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에서 힐링 관광지로 최근 개발돼 급부상한 해안산책로 지질공원이 공사 자질로 5년 동안 통제돼 행정력 부재가 도마 위에 올랐다.
울릉도 해안지질공원으로 최근 가장 핫한 관광지로 주목받는 행남등대~저동촛대암 간 해안산책 지질공원 바닷길 개선공사가 5년째 하세월로 최고의 관광지 기능을 못하고 있다.
미국 CNN-TV가 한국에 가면 꼭 가봐야 할 곳을 선정됐고 KBS2 TV인기 프로 1박2일을 두 차례나 촬영한 울릉도에서 최근 젊은이는 물론 지지공원으로 스토링 있는 가장 핫한 관광지인 이 해안 산책로가 5년째 잠자고 있다.
울릉군은 애초 행남등대와 저동 촛대암 간 7개의 무지개 구름다리와 절벽을 깎아 해안 산책로를 개설했지만, 산사태로 교량이 자주 파손되고 위험해 절벽에 붙어 있어 위험한 가운데 태풍의 내습으로 일부가 유실됐다.
이에 따라 산책로를 아예 바다로 교량의 건설하는 사업을 시작했다. 이 사업은 행남등대 산책로에서 직벽으로 50m 높이의 소라 계단을 내려와 타원으로 바다에 교량을 설치 낙석이나 산사태가 나도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는 계획이었다.
총 사업비 60억 원(국비 40억 원·도비 9억 5천만 원·군비 10억 5천만 원) 중 모 업체가 47억 6천만 원에 낙찰받아, 지난 2018년부터 공사에 들어갔다. 하지만, 실제공사는 2020년 8월부터 시작됐다.
따라서 2021년 6월 준공할 계획이다. 그러나 지난 2020년까지 교각만 워 놓고 녹이 설정도로 기간이 지났지만, 지금까지 공사가 지지부진하다. 최근 육지에서 일부 구간 철 구조물 다리를 제작해 거치를 준비 중이다.
이 공사는 토목공사 교량 신설(선형개선) 길이 174m, 교량 재설치(피암시설) 길이 32m를 설치하는 실제 단순한 공사로 교각을 설치할 때 육지에서 교량 상판을 제작하면 공기가 짧고 간단한 공사다.
현재 교량신설 174m의 교각을 일부설치 했고, 교량 재설치는 교각이 없다, 교량은 육지에서 제작 이미 울릉도에 도착 설치 준비 중이다.
그런데 문제는 이 같은 단순한 공사가 지금까지 늦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행정지도의 손길이 미치지 않는지 특혜인지 대한민국에서 가장 핫한 해안 지질공원으로 울릉도를 대표할 관광지가 5년 동안 잠자는 것은 행정 부제라는 지적이 높다.
지난해 본지가 취재확인결과 울릉군은 지난해 7월30일까지 관급자재 압연 강재 납품을 완료하고 11월30일까지 교량 상부거치 제작 완료(육지공장제작), 연말에는 공사를 준공할 계획이다며 겨울철 기상악화 시 2023년 5월쯤 준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아직도 공사는 하세월이다. 울릉도에 이 같이 공사 추진이 미흡해 연기되는 공사가 수두룩하다. 공무원의 의지가 없거나 봐주기 공사가 아니면 이렇게 공기가 늦어질 수가 없다.
울릉도에 반드시 필요한 울릉복합커뮤니티센터는 예산을 받고도 무산, 울릉군수 3대에 걸친 LPG배급망 사업 등 대형 사업이 무산 또는 지연되는 것은 예산의 효율성 및 낭비성 지적과 함께, 느슨한 행정 탓이라는 것이다.
”줘도 못먹나“는 소리가 들리지 않도 공무원들이 울릉도 발전을 위해 분발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김두한기자kimd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