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영일민속박물관, 포항 역사를 담다

박효조 시민기자
등록일 2023-12-21 18:24 게재일 2023-12-22 12면
스크랩버튼
옛 흥해군 동헌 ‘제남헌’ 제1전시실로 <br/>향토 유물·자료 4천600여 점 보존<br/>지역문화 해설사 부재 아쉬움 남아 
영일민속박물관.
어느덧 또 일 년이 역사 속으로 포개진다. 이맘때면 한 해를 보내는 송년회며 각종 모임이 줄을 선다. 열심히 살아온 시간을 반추하는 모임이지만 연말 분위기 탓인지 마음에 부산함도 따른다. 여타 모임을 얼추 마치고 마지막 남은 문학 행사를 준비하고 있는 지인을 만나러 간 김에 머리도 식힐 겸 흥해읍 성내리에 위치한 산책하기 좋은 ‘영일민속박물관(迎日民俗博物館)’을 찾았다. 영일민속박물관은 포항 유일의 공립박물관이다.

지역의 고유한 향토 문화가 고스란히 전시되어 있는 이곳은 4천600여 점의 소중한 자료들과 향토 유물을 보존하고 있다. 전시된 자료들은 토기류를 비롯하여 의관 류, 관혼상례 용구, 구서적류와 생활 용구류, 농기구, 어구류 등이며 유물들은 이 지역 고유의 유물들로서 지역 특유의 향토 문화 형성과정을 잘 엿 볼 수 있다. 김종철 박물관 관리자의 설명에 의하면 박물관 중심에 위치한 제남헌(濟南軒)은 조선 헌종 원년에 건립되어 옛 흥해 군의 동헌으로 쓰였던 것으로 이 제남헌을 제1전시실로 하여 민속 박물관이란 이름으로 1983년 개관하였다. 제2전시실은 1985년에 신축하여 자료들을 재분류 전시하였고 그해 1월에 경상북도 향토 역사관으로 지정되었으며 1987년 6월 군 단위 민속 박물관으로서는 국내 처음으로 준 박물관으로 공식 지정되었다.


박물관 출입문을 통과하면 마주하게 되는, 정갈하게 정돈된 제남헌의 모습은 옛 고택에 들어온 느낌을 준다. 제남헌은 문화재자료로 지정된 지정문화재로 이 건물에서 바라보이는 600년 된 회화나무의 기품은 제남헌의 모습을 한껏 더 운치 있게 한다. 운치를 더하는 이 노거수는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으며 박물관의 상징이자 지역의 역사까지 고스란히 품고 있다.


입구 측 전시동인 실내전시실 3개 동은 2023년 12월 현재 수리 중으로 관람 불가이며 야외전시장 2곳은 노란 초가의 지붕을 한 옛 농가의 모습과 곡식을 빻던 연자방아가 있는 곳으로 특히 신기해하는 아이들의 관심도가 높다. 멀리 경산에서 왔다며 열심히 아이들에게 설명하던 관람객이 “지역문화 해설사가 이 곳에도 있었으면 아이들이 더 잘 이해하고 알아들을 수 있었을 텐데”라며 아쉬움을 표했다.


박물관이란 유물을 보존하고 있는 것으로 그 역할을 다하는 것이 아니다. 전시된 유물을 그냥 재미삼아 본다는 기본 개념과 달리 전시된 자료들에 대해 제대로 된 관람과 감상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도 필요하다. 창조는 모방에서 온다는 말이 있듯이 무심히 보아 넘길 무디듯 한 유물에서 예술의 감성을 느낄 수 있고 그 영감으로 새로운 관점들을 창조해내는 것이다. 규모는 그리 크지 않지만 자신도 모르게 과거로의 여행에 빠져들게 하는 작지만 옹골찬 영일민속박물관. 이 박물관에 전시된 유물에 대한 역사를 잘 설명해 줄 수 있는 전문 해설사가 없음이 무엇보다 아쉽다.


곧 갑진년 새해가 밝아 온다. 새해를 준비하는 차분한 마음으로 가족이나 지인들과 함께 산책하는 마음으로 가까이 우리지역 조상들의 삶의 지혜를 엿볼 수 있는 영일민속박물관을 한번 다녀가 보기를 권한다.


/박효조 시민기자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