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급격한 기후변화 시대 예술 창작 활동에서 고민해야 할 것들은…

허명화 시민기자
등록일 2024-12-17 19:45 게재일 2024-12-18 12면
스크랩버튼
포항시립미술관에서 전시 연계프로그램인 ‘POMA 아카데미’ 강연이 진행되고 있다.

지금 우리는 급격한 기후 변화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기후변화는 우리 삶을 위협하고 있고 모든 분야에 연결되어 있으며 시대를 반영하는 예술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작가들의 창작과 전시는 어떤 방향으로 흘러가야 하고 미술관에서는 어떤 고민들이 있을까 궁금했다.

그런 까닭에 토요일 오후, 포항시립미술관에서 진행하는 ‘내일의 날씨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전시 연계프로그램을 찾았다. 기후변화, 예술 실천, 미래기획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세 차례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었는데 전시와 연계해서 여러 가지를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지난 토요일은 날씨와 기후변화의 이해와 대응에 이어 ‘기후변화 시대의 예술, 우리의 안녕을 미술관에서 이야기하다’라는 주제로 학예연구사의 강연이 시작되었다. 먼저 기후변화는 예술가와 예술작품의 주제와 내용에 영향을 끼친다. 2003년에 영국 테이트모던에서 전시된 설치미술가인 올라퍼 엘리아슨의 ‘날씨 프로젝트’를 예로 들었다. 당시 전시에서는 수백 개의 전구로 거대한 인공 태양을 만들었고 무려 200만 명의 관람객이 다녀가는 성과를 냈다. 작가는 유사 자연을 통해 실제 자연을 사람들이 어떻게 느끼는지 보고자 했다. 또 실제 빙하를 주인공으로 내세우며 테이트모던 미술관 광장과 유럽의 유명 관광지에서 자신의 설치 작품도 보였다. 당시 거리를 지나는 사람들은 놀라운 표정을 가졌는데 실제 빙하로 경각심과 기후변화를 일깨우고자 함이었다.

하지만 이런 설치 작품을 보며 느끼는 건 인공 태양을 만들기 위해 사용한 수백 개의 전구로 오히려 많은 탄소를 배출시켰으며 실제 빙하를 옮겨 왔어야만 했느냐는 것이다. 여기에는 작가의 욕망과 테이트모던의 욕망도 함께 작용했을 거라 여겨지지만 전시에서 관람객들에게 어떤 것들을 환기시키고 보여주어야 하는지와 탄소배출이 정당한가라는 문제는 물음표가 생기게 한다. 이 작가의 유사 자연 작품은 계속 이어질 텐데 작가의 창작과 전시에 있어서도 기후변화를 고민하며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지를 작가들 각자의 이야기를 풀어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 기후변화는 예술의 활동과 생태계 간의 상호작용을 강조한다. 공장이 많은 지역인 울산 태화강의 이야기로 이어지며 동물과 식물, 인간이 같은 눈높이에서 바라볼 수 있어야 하고 작가들은 생태를 통해 그들만의 시각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예술의 형식과 매체에도 변화를 주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버려지거나 사용하지 않는 공간의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기후변화시대에 더 활용되어야 하는 것들이다. 재활용과 자연 소재의 활용, 환경 교육 등이 이런 변화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팬데믹을 거치며 미술관을 온라인으로 대체해야 하는 문제는 실제와 이미지는 다른 것이어서 온라인으로 대체되기에는 어려워 보인다. 대중교통을 활용할 수 있는 미술관의 접근성도 기후변화 시대에 고려해 봐야 할 문제이다.

강연을 들은 한 관람객은 “기후변화가 중요하고 예술에도 분명히 영향을 끼치는 게 당연한 거지만 작가들에게 너무 환경에만 치우치게 하는 건 아닌가 한다”라는 질문에 학예연구사는 “기후변화로 인해 작가들은 생태와 환경이 창작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항상 생각한다.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친환경적으로 항상 고민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전시를 하는 미술관에서도 다양한 방법을 고민하는 건 마찬가지다”고 말했다. /허명화 시민기자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