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수도권은 때아닌 ‘사랑 벌레’, 즉 ‘러브버그(Lovebug)’로 불리는 ‘붉은등우단털파리’의 습격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짝짓기 상태로 날아다니는 독특한 모습 때문에 이런 낭만적인 이름이 붙었지만, 도심을 뒤덮은 개체 수에 시민들의 불편은 이만저만이 아니다. 전문가들은 폭염과 잦은 비 등 기후변화로 인해 따뜻하고 습한 환경이 조성되면서 ‘러브버그’가 대발생한 것으로 분석한다. 수도권의 문제로만 여겨졌던 이 도시 해충의 공습이 이제는 결코 남의 일이 아니다. 최근 대구경북 일부 지역에서도 ‘러브버그’가 출현했다는 소식이 들려오면서, 우리 지역 역시 기후변화가 불러온 새로운 해충 문제에 대한 선제적인 대비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러브버그’는 다행히 독성이 없고 인간을 물거나 질병을 옮기지는 않는다. 오히려 유충 시절에는 숲 바닥의 낙엽과 유기물을 분해해 토양을 비옥하게 하고, 성충은 꽃의 꿀을 빨며 수분 활동을 돕는 등 생태계에서는 ‘익충’으로 분류된다. 하지만 무엇이든 과하면 문제가 되는 법, 도시에서의 대량 발생은 이야기가 다르다. 수십, 수백 마리가 떼를 지어 다니며 미관을 해치고, 건물 외벽이나 창문, 자동차 등에 달라붙어 심각한 불편을 초래한다. 특히 산과 인접한 아파트 단지나 공원 주변에서 피해가 집중되는 양상을 보이며, 사체는 자동차 도장 면을 부식시키기도 한다. 이는 생태계 교란의 신호탄이자, 기후변화가 우리의 일상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생생한 증거이다.
수도권 지자체들은 ‘러브버그’의 대량 발생에 방역소독 위주의 ‘사후 대응’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살충제 방역은 ‘러브버그’뿐만 아니라 꿀벌과 같은 다른 유익한 곤충까지 없애 생태계의 불균형을 심화시킬 수 있다. 해외 사례를 보면, 수십 년간 ‘러브버그’를 겪어온 미국 플로리다주는 화학적 방제보다는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관리와 시민 교육에 집중한다. ‘러브버그’가 특정 시기에 집중적으로 발생했다가 자연 소멸하는 단기적 현상임을 알리고, 자동차 보호 덮개 사용법이나 친환경 벌레 퇴치법 등을 안내하며 시민들의 불안감을 줄이고 공존하는 법을 터득하도록 돕는다. 이러한 접근법은 무분별한 방역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도시 생태계의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제 대구·경북 지역도 ‘러브버그’를 포함한 기후변화 시대의 새로운 도시 해충 문제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 전략을 수립해야 할 때이다. 단기적인 방역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우선 우리 지역의 ‘러브버그’ 발생 현황과 서식 환경에 대한 정밀한 실태조사가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친환경적인 방제 기술을 개발하고, 시민들에게 정확한 정보와 행동 요령을 제공하는 체계적인 소통 채널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공원과 녹지 조성 시 해충의 대량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식물 종을 도입하는 등 도시 계획 단계에서부터 생태적 고려를 포함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러브버그’의 등장은 우리에게 불편을 주지만, 한편으로는 기후 위기의 심각성을 알리는 중요한 경고 메시지이기도 하다. 이 작은 곤충이 보내는 신호를 무시하지 않고, 지속가능한 도시 생태계를 만들어 나가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남광현 대구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