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우 지사 “수출 불확실성 해소·에너지 물류 기회 환영하지만 협상 제외된 철강 관련 지역엔 재앙 우려” 정부·국회에 대응 촉구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31일 발표된 한미 관세협상 타결 소식에 기대와 우려를 동시에 전하며 “성장 기회로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한미 관세협상은 15%의 대미 수출 상호관세, 3500억 달러 규모 대미 금융패키지를 주요 내용으로 한다.
이철우 지사는 관세협상 종료 시점을 하루 앞두고 타결된 이번 협상에 대해 국내 기업의 불확실성 해소와 새로운 시장 진출 기회라는 점에서 환영의 뜻을 밝혔다.
특히 이차전지·바이오 등 전략 산업의 미국 진출을 지원하는 경제안보 분야 펀드가 관련 산업을 적극 육성 중인 경북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평가했다. 그러나 지역 핵심 산업에 대한 위기는 지속될 것이라며 정부와 국회의 적극적 대응을 촉구했다.
포항의 핵심 산업인 철강 분야는 이번 협상에서 제외돼 철강 품목 관세 50%가 유지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이 지사는 “포스코·현대제철의 주요 공장이 폐쇄에 들어간 상황에서 이번 협상은 지역민에게 끊이지 않는 재앙과도 같다”며 심각한 우려를 표했다.
이어 포항을 산업 위기 선제 대응 지역으로 지정하고, ‘철강산업 지원 특별법’ 제정을 통해 중앙정부와 국회가 협력해 위기 극복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지사는 “자동차 및 부품 산업 관세도 15%로 합의되었으나, 이는 한미 FTA의 무관세 혜택 상실로 산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라고 언급하면서 ”영천 등 자동차 부품 산업 밀집 지역의 관련 산업 경기 침체 가능성에도 각별한 관심을 기울일 것“을 지시했다.
농축산물 시장 추가 개방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SNS 발언으로 인한 불확실성도 지적됐다. 이 지사는 “농민들의 피해 방지를 위해 시장 동향과 정책 변화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경북도 차원에서 적극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 지사는 미국으로부터의 에너지 수입 확대를 동해안 에너지 물류 시대 개막을 의미하는 발걸음으로 평가했다. 1000억 달러 규모의 LNG 등 미국 에너지 수입은 기존 중동 등에서 수입되던 에너지를 미국으로 대체하는 것으로 보고, 영일만항을 주요 대미 에너지 항구로 만드는 ‘영일만 에너지 복합항만 개발’도 강조했다.
이철우 지사는 “이번 협상은 우리 경제에 기회와 위기라는 복합적인 모습으로 다가올 것”이라며 “도지사가 책임지고 중앙정부, 국회와 함께 경제성장의 기회로 만들 수 있도록 대처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창훈기자 myway@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