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나를 팝니다"···조선시대 ‘자매문기’ 문서 공개…가난에 몸 판 민중의 비애

윤희정 기자
등록일 2025-08-05 15:15 게재일 2025-08-06 3면
스크랩버튼
한국국학진흥원, 19세기 대기근 속 신분매매 기록 15점 공개
Second alt text
윤매 ‘자매문기’(의성김씨 지촌종택 기탁자료). /한국국학진흥원 제공

 

Second alt text
윤심이 ‘자매문기’(화산이씨 충효당 기탁자료). /한국국학진흥원 제공

“아버지 시신 거두려 내 몸과 후손을 노비로 팝니다”

한국국학진흥원은 5일 조선 후기 극심한 기근과 재난 속에서 생계 유지를 위해 자신을 노비로 매매한 계약문서인 ‘자매문기’(自賣文記) 15점을 공개했다. 

1815년 경상도 안동 지례 마을, 홍수와 기근이 덮친 폐허 속에서 윤매(允每)는 피눈물로 쓴 한 장의 문서에 이렇게 적었다.
 

“저희 집안은 원래 빈궁하고 가까운 친족도 없습니다. 그러던 차에 을해년(1815년) 대기근을 만나 아버지가 객지에서 유랑하며 걸식하다가 그만 수 백리 밖에서 객사하고 말았습니다. 아버지의 장례를 치를 여력이 되지 않아 저를 노비로 팔겠습니다”


당시 30냥(현재 가치 약 2400만 원)에 자신과 후손을 양반 집에 종속시킨 그는 문서에 왼손바닥을 찍어 서명했다. 글을 몰랐던 그가 유일하게 증명할 수 있는 절박한 흔적이었다.

윤매뿐 아니라 윤심이(尹心伊)는 병든 시부모 봉양과 가난을 견디지 못해 남편은 이미 노비가 된 상태에서 아들 복이(卜伊)까지 팔아 생계를 해결하려 했다. 관청은 이를 허가했고, 자매문기와 청원서, 공증 문서로 계약이 성립됐다.

한국국학진흥원 국학기반본부 김미영 수석연구위원은 “'자매문기'는 당시 사회상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라며 “조선 후기로 접어들며 신분제도가 해체되면서 노비였던 이들이 양민으로 신분 상승했고, 이에 따라 양반 수는 급증한 반면 노비 수는 급감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로 인해 생계 위기에 처한 양민이 스스로를 노비로 파는 ‘자매문기’가 다수 등장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