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포항, ‘법정 문화도시 위상 흔들’ 체계적 시스템 필요

윤희정 기자
등록일 2025-08-04 17:20 게재일 2025-08-05 14면
스크랩버튼
포항문화예술회관 천장재 탈락
노후화에 처짐·균열 심각···일관성 없는 관리 체계 등 부실 드러나
타 도시 비해 부족한 투자도 한몫···"장기적 인프라 확충 필요" 목소리
Second alt text
포항문화예술회관 입구 모습. /윤희정기자

지난 6월 16일 발생한 포항문화예술회관 2층 로비 천장재 탈락 사고는 포항시의 문화 인프라의 취약성을 드러낸 부끄러운 단면이었다. 

이 사고는 관리 부실과 일관성 없는 관리 체계, 타 도시 대비 투자 부족 문제의 속살을 여지없이 드러냈다. 시가 예술회관에 대한 복구 계획을 밝히면서, 30년 이상 누적된 노후 시설의 구조적 결함에 대한 개선책이 시급하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법정 문화도시 위상에 맞는 인프라 확충과 전문 담당 공무원제 도입 등 체계적 관리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즉각 대응에도 불안감 여전, 근본적 대책 마련 촉구
시는 사고 발생 직후 긴급 복구 작업에 착수해 17일 1차 조치를 완료하고, 19일에는 전문기관에 천정부 구조 안전 점검을 의뢰했다. 점검 결과 드러난 천장재의 심각한 처짐 현상과 균열에 대해 9월부터 12월까지 약 10억 원을 투입해 대대적인 보수 공사를 진행한다. 건축 및 전기 설비의 전면 교체와 화재 감지기, 통신 배선 등의 안전 설비 강화가 주요 내용이다.
지역 문화예술계는 여전히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포항문화예술회관은 포항시립예술단의 주 무대이자 연간 수십 차례의 공연과 전시가 열리는 중요한 문화공간이지만, 그동안 안전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사실이 이번 사고를 통해 드러났기 때문이다.

△일관성 없는 관리 체계와 책임 소재 불분명
문제는 또 있다. 문화예술회관 관리 체계의 일관성 부족과 책임 소재의 불명확함이다. 개관 당시인 1995년에는 포항시시설관리공단이 관리를 맡았으나, 이후 조직 개편이 반복되며 혼란을 겪었다. 2017년 포항시 출자출연기관인 포항문화재단이 설립된 이래 2018년 7월~2024년 6월에는 포항시 문화산업팀이 전담했다. 그러나 해당 팀이 폐지되며 다시 조직이 재편됐다. 현재(2024년 6월~)는 포항문화재단 시설운영팀과 포항시 문화유산팀이 각각 역할을 분담하고 있다. 이러한 잦은 관리 주체 변경은 체계적인 시설 운영의 연속성을 해쳤고, 결국 시설 노후화와 안전 관리 소홀이라는 심각한 문제로 이어졌다.

Second alt text
포항문화예술회관 1층 로비에 ‘천장 긴급 보수로 인한 통행제한’ 안내문이 붙어져 있다. /윤희정기자 

△타 도시와 비교되는 포항시의 문화 인프라 투자 부족
이번 사태는 포항시의 문화 인프라 투자가 다른 도시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는 사실도 드러냈다. 대구와 부산 등 인근 도시들은 이미 오래전에 대규모 공연장과 콘서트홀을 개관해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지만, 포항은 2005년 전국무용제 개최 당시 일부 리모델링 진행 이외에는 별다른 투자를 하지 않았다.

△법정 문화도시· 최우수 문화도시 위상에 걸맞은 문화 인프라 확충 필요
오는 11월 7일부터 일주일간 열릴 예정이었던 ‘2025 포항음악제’ 역시 타격이 불가피하다. 메인 무대인 포항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을 사용할 수 없게 되면서 대체 장소를 찾는 과정에서 유료 공연 가능 여부와 대관 문제 등이 발목을 잡고 있다.
지역 문화예술계와 시민들은 포항시가 ‘법정 문화도시·최우수 문화도시’라는 이름에 걸맞게 단순한 땜질식 처방이 아닌 보다 책임감 있는 행정을 펼쳐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문화 인프라를 확충하고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문화정책 부재와 새로운 전략 필요성 제기
지역 문화예술인들은 포항시가 법정 문화도시로서의 위상에 걸맞은 책임감 있는 행정을 펼쳐줄 것을 촉구하고 있다. 한 지역 문화계 인사는 대전의 한 도서관이 올해 3월 기재부가 주최하고 국토부가 주관하는 노후 건축물 리모델링 사업에 공모해 선정돼 36년 묵은 노후시설을 전면 개·보수하게 된 사례를 들며 “포항시도 주무 부서가 왜 이런 사업에 대한 구상도 못 하고 있는지 안타깝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문화정책 전문가는 “포항시는 지난 5년간 법정문화도시로 지정됐지만 30년 노후된 공연장 천장 탈락 사고가 발생한 뒤 시립예술단이 공연장을 찾기 위해 전전긍긍하는 상황”이라며 “지속 가능한 문화적 자산을 지니기 위한 새로운 문화도시 전략이 필요한 시점에 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전문 담당 공무원제 도입’을 제안하며, “단순한 시설 보수 차원을 넘어 장기적 관점에서 인프라 확충과 체계적 관리 시스템 구축이 포항시의 문화적 위상과 시민 삶의 질 향상에 필수적”이라고 지적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