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현장 안전 요원 부재 및 통신 체계 미비 제기 열차 감지 시스템 도입, 작업 시간과 열차 운행 시간 정밀 조율, 안전 요원 배치 등 제도적 보완 지적
청도군에서 발생한 열차 사고가 철도 작업 현장의 안전 관리 실태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다.
19일 오전 10시 52분쯤 청도소싸움 경기장 인근 경부선 철로에서 마산행 무궁화호 열차가 선로 보수 작업 중이던 근로자들을 덮쳤다. 이 사고로 작업자 7명 중 2명이 사망하고 5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사고 당시 열차는 승객 89명을 태우고 시속 약 100km로 운행 중이었다. 작업자들은 남성현역 인근(화양읍 삼신리, 청도역 기점 6km)에서 최근 폭우로 생긴 비탈면 구조물 피해를 육안으로 점검하기 위해 걸어서 이동하던 중 무궁화호(동대구→진주) 열차와 충돌했다.
일부 목격자들은 “열차가 다가오는 것을 제대로 알지 못한 채 사고를 당한 것으로 보였다”고 증언했다. 청도 인근 주민들은 “이곳은 평소에도 열차가 자주 지나가는 구간인데, 작업자들이 너무 철로와 가까운 곳에서 작업하고 있었던 같다”고 전했다.
목격자들의 증언대로라면 이번 사고는 단순한 현장 실수 이상의 문제를 드러낸다.
특히 최근 국내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사망사고로 이재명 대통령이 해당 업체의 면허 박탈, 공공입찰금지 등 각종 불이익 검토와 함께 관련 부처의 산재 방지 대책을 요구하면서 “후진적 산재 공화국 뜯어고칠 것”이라고 발언한 지 1주일 만에 난 사고가 발생해우리 사회에 만연한 안전불감증에 또한번 경각심을 불러일으킨다.
철도공사 관계자는 “작업자들이 열차 운행 시간대를 인지하고 있었으며, 사전 통보도 이뤄졌다”고 밝혔다. 하지만 철도 안전 전문가들은 사고 원인으로 현장 안전 요원 부재 및 통신 체계 미비를 제기하면서 철도 작업자에 대한 실시간 열차 감지 시스템 도입, 작업 시간과 열차 운행 시간의 정밀 조율, 현장 안전 요원 배치 의무화 등 제도적 보완을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작업자 보호를 위한 열차 감지 시스템과 경고 장치가 반드시 이중으로 작동해야 한다”며 “이번 사고는 단순한 인재가 아닌 구조적 문제를 드러낸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도 19일 청도군에서 발생한 무궁화호 열차 사고에 대해 “완벽한 인재”라고 언급했다.
정 대표는 이날 경주를 방문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현장 점검 중에 기자들과 만나 “사고가 왜 일어났는지 집권여당으로서 철저하게 파악하겠다”며 “돌아가신 분들, 부상하신 분들을 도울 일이 있으면 돕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발생하지 말아야 할 사고가 발생했다”며 “재난대책위원장으로 임명한 윤건영 의원한테 상황 파악 후 필요한 대책을 할 수 있으면 하라고 긴급 지시하겠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사고가 발생하자 철도안전정책관, 철도안전감독관, 철도경찰, 교통안전공단(조사관) 등 초기대응팀을 현장에 급파해 복구 지원과 원인 조사에 나섰다.
국토부 관계자는 “철도 안전 법령 위반 사항이 있었는지 등을 조사해 위법 사항이 발견되면 무관용 원칙에 따라 엄중 조치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조속히 마련하겠다”고 전했다.
/피현진·심한식·장은희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