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포장·저가’로 부담없이 접근 30대 여성 매출, 전체의 20.5% 다이어트·스트레스·눈 건강 順
최근 편의점이 건강기능식품(건기식) 시장에 공격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다이소에서 시작된 ‘소포장·저가 건기식’ 돌풍이 편의점까지 번진 것이다.
28일 포항시 북구의 한 편의점에는 비타민, 장 건강, 이너케어 제품 등이 3000~5000원 가격표를 달고 전면에 배치돼 있었다. 껌이나 사탕처럼 계산대 앞에서 자연스럽게 눈에 띄는 구조였다. 또 다른 매장은 뷰티·헬스 전문점을 연상케 할 정도로 별도의 ‘헬스케어 코너’를 꾸며두기도 했다.
가격대는 대부분 5000원 이하로 기존 대용량 위주였던 건기식 판매 채널과 차별화된다.
이전에는 한 달 치 이상 대용량 제품을 온라인이나 약국에서 구매하는 방식이 주류였지만, 편의점은 “한 번 먹어보자”는 가벼운 접근성을 앞세워 소비자를 끌어들이고 있다.
편의점 업주 김모씨(55·포항시 북구)는 “요즘 손님들이 건기식을 의외로 많이 찾는다”며 “특히 퇴근길 여성 손님들이 ‘이건 뭐지’ 하면서 구경하다가 상품을 집어가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소비자 반응도 긍정적이다.
직장인 이모씨(34·포항시 북구)는 “계산을 기다리다 눈에 띄어서 같이 사봤다”며 “소포장이라 부담 없이 먹어볼 수 있어서 좋다”고 말했다.
이는 상품 구매실적으로도 확인됐다.
28일 BGF리테일에 따르면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25일까지 CU의 건기식 매출 비중은 30대(37.2%)가 가장 높았고, 40대(31.4%), 50대 이상(17.1%), 20대(13.7%)가 뒤를 이었다. 특히 30대 여성이 전체 매출의 20.5%로 압도적 1위로 나타났다.
판매 품목별로는 다이어트, 스트레스, 눈 건강 순으로 인기가 많았다. 이는 MZ 세대의 ‘셀프케어’, ‘저속 노화(Slow Aging)’ 트렌드가 편의점의 접근성 및 소포장 마케팅과 시너지 효과를 낸 결과로 풀이된다.
편의점 업계는 업황 부진의 돌파구로 건기식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하는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업계에는 새로운 성장 동력이, 소비자에게는 저렴하고 접근성 높은 건강 관리 채널로 부상하며 ‘윈윈(Win-Win)’으로 자리 잡고 있다.
글·사진/정혜진기자 jhj12@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