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평생 남을 위해, 통일을 위해 살았다”···'옥수수 추장' 김순권 박사

단정민 기자
등록일 2025-08-28 15:34 게재일 2025-08-29 5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김순권 박사가 검정초당옥수수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검버섯이 핀 양손을 펴자 검게 물든 손톱이 보였다. ‘해방둥이’라고 한 백발의 그는 “검정초당옥수수를 연구하느라 손톱이 새카맣다”면서 멋쩍게 웃었다. 뜨거운 눈빛을 가진 그는 포항시 북구 청하면 국제옥수수재단 근처 옥수수밭에서 만나기를 청했다. ‘아프리카의 옥수수 추장’이라는 위인전기의 주인공 김순권(80) 옥수수 박사다. 

한동대 석좌교수인 김 박사는 최근 16년의 연구 끝에 사료 효율성과 바이오에너지 생산성을 갖춘 하이브리드 옥수수를 개발했다고 한다. 식량 안보와 친환경 에너지 생산이란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는 획기적인 성과라고 설명했다. 

김순권 박사는 1998년 슈퍼옥수수 개발사업으로 북한뿐만 아니라 도움이 필요한 해외 국가의 이웃, 힘들게 살아가는 국내 이웃들에게 희망을 선물해온 국제옥수수재단의 이사장이기도 하다.

Second alt text
옥수수로 검게 물든 김순권 박사의 손.

평생을 옥수수에 천착한 이유가 궁금했다. 

어린 시절로 거슬러 올라갔다. 바다 마을에서 태어난 소년 김순권은 태풍으로 집을 잃고 사고로 아버지마저 여의었다. 온몸으로 고단하기만 한 고기잡이와 농사일로 생계를 도우면서도 늘 가난 탈출을 꿈꿨다. 농업고에 이어 대학에서 농업을 전공했고, 수원 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 농업연구사보로 공직에 입문하면서 옥수수 연구 부서에 배치됐다. 김 박사의 인생이 뒤바뀌는 결정적 순간이다. 

미국에서 옥수수 육종 등에 관한 공부를 계속했다. 옥수수 분야 연구에서 가장 앞선 미국에서 배워 우리나라를 살려야겠다는 생각에서다. 원나라에서 붓대 속에 목화 종자를 들여와 전국에 목화씨가 퍼지도록 한 고려 말 문신 문익점이 떠올랐다. 조국을 살리겠다는 사명감으로 미국 하와이대와 일리노이대에서 연구에 매진한 결과 “옥수수를 위해 태어난 괴물 같은 연구자”라는 칭송을 들을 수 있었다. 

그의 기대와는 달리 “벼도 아닌 옥수수에 매달리는 게 말이 되느냐”, “옥수수는 선배 연구자들이 실패한 분야”라는 비아냥과 비판이 쏟아졌다. 물러날 김 박사가 아니다. “우리 민족도 잘살게 해주세요”라면서 강원도 산골짜기에 옥수수 씨앗을 뿌리며 기도하고 울부짖었다. 

결국 김 박사는 자체 기술로 교잡종 옥수수 개발에 성공했고, 강원도 농민의 소득이 크게 올랐다. 사람들은 김 박사를 ‘옥수수 박사’로 불렀고, 옥수수는 ‘제2의 녹색혁명’의 주인공이 됐다. 

김 박사의 눈은 다시 아프리카고 향했고, 말라리아로 쓰러지면서도 17년간 아프리카를 누비며 옥수수 품종 개량과 재배법 전수를 반복했다. 빈곤의 땅에 옥수수가 뿌리를 내리는 모습을 본 아프리카 국민의 얼굴에 웃음꽃이 피었다. 

북한도 빼놓을 수 없었다. 1998년 남쪽 강원도에서 개발한 ‘수원 19호’ 종자를 들고 북한을 방문해 연구성과를 전수하고, 종자 개량 사업도 펼쳤다. 협동농장의 옥수수 수확량이 20% 늘었다. 굶주렸던 북한 주민들에게 더 많은 옥수수 수확의 기쁨을 준 김 박사는 “내 땀과 노력으로 수백만 명이 굶주림을 면하게 됐다”며 활짝 웃었다. 

왜 태어났는지, 죽기 전에 무엇을 할 것인지 늘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한 김 박사는 “남을 위해 사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했다. 그는 “남을 위해 살아온 사람, 통일을 위해 옥수수를 바친 사람으로 세상에 남고 싶다”는 소망을 전했다. 

글·사진/단정민기자 sweetjmini@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