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루언서까지 부추겨 논란, 안전 불감증에 군·해경 ‘속수무책’
울릉도에서 목숨을 담보로 한 다이빙 ‘인증샷’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확산되면서 모방 촬영이 이어지고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
울릉군은 지난해 촛대암 해안산책로에 낙석 위험을 피하기 위해 바다 위 교량을 설치해 탐방객의 안전을 확보했으나, 최근 이 교량에서 바다로 뛰어내리는 위험한 다이빙 영상이 공개되며 문제가 커지고 있다.
영상에는 울릉도 주민으로 추정되는 청년들이 교량 위에서 바다로 뛰어내리는 모습이 담겼다. 해당 영상이 SNS에 공개되자 해경은 확산을 우려해 울릉군에 삭제를 요청했고, 결국 영상은 내려졌으나 이미 전국적으로 퍼진 상태다.
특히 조회 수 43만 회를 기록한 한 영상에서는 20대 여행 인플루언서가 “아직 끝나지 않은 여름, 울릉도를 가야 하는 이유는 말하지 않겠다”라며 글을 올렸다. 이어 “에메랄드빛 바다와 기암절벽을 바라보며 다이빙하기엔 국내 원톱”이라며 울릉도 다이빙을 부추겨 논란이 되고 있다.
이들이 촬영한 장소는 높이 10~15m의 교량으로, 수심도 깊어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실제로 최근 인근 교량에서 40대 남성이 뛰어내렸다가 숨지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현재 SNS에는 이곳뿐 아니라 절벽과 방파제 등에서 다이빙하는 여러 ‘인증샷’ 영상이 올라와 있지만, 해경은 직접 규제할 법적 근거가 없어 대응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울릉도는 물살과 파도가 거세 수영에 적합하지 않은 지역이 많다”며 “무분별한 다이빙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일각에서는 울릉군이 조례를 제정해 강력히 단속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촛대암 해안산책로 교량의 경우 통행만 허용하고 다이빙은 금지하는 등 물리적·행정적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만약 이 같은 행위가 방치된다면 또다시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며, 자칫 울릉도가 “다시는 가고 싶지 않은 섬”으로 낙인찍힐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김두한기자 kimd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