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 대평나무보, 전통과 생명의 물길을 잇다”
“한 마을에 국도와 냇물이 5km 지나는 곳은 우리 마을이 유일할 겁니다.”
문경시 산북면 내화리 화장마을의 장사원(75)씨는 마을에 대한 자부심을 이렇게 표현한다. 태어나서 자라고, 다시 노년에 이르기까지 고향을 지켜온 그는 지금도 마을의 역사와 문화를 발굴하고 알리는 데 누구보다 앞장서고 있다.
그는 10살 무렵, 서당에서 글을 배우며 마을 스승에게 들었던 옛 이야기들을 여전히 기억하고 있다. 당시에는 왜 자신에게만 그런 내력을 들려주었는지 의아했지만, 세월이 흐르면서 그 말들이 운명처럼 다가왔다. 마을의 문화와 전통을 지켜야 할 책무가 자신에게 있다는 자각이었다.
□ 시멘트 대신 나무 보를 택하다
2001년, 문경시의원으로 활동하던 그는 큰 선택의 기로에 섰다. 문경시가 내화리 금천에 있던 나무 보를 철거하고, 시멘트 구조물로 교체하려 했기 때문이다. 당시 계획은 6천만 원을 들여 콘크리트 보를 짓는 것이었지만, 장 씨는 시장실을 찾아가 강력히 설득했다.
“옛날부터 나무 보는 물고기가 드나들고, 수서 생물이 살아 숨 쉬는 터전이었습니다. 자연과 공존하는 수리시설이었죠.”
결국 주민들과 함께 1천만 원으로 나무 보를 복원했다. 길이 48m, 폭 6m의 규모였다. 낙엽송 목재를 3중으로 엮어 만들었다. 이는 단순한 수리시설의 복원을 넘어, 지역 농업과 생태를 동시에 살리는 결정이었다.
□ 홍수에도 지켜낸 ‘생명의 보’
그러나 2023년 문경을 덮친 홍수는 화장마을의 나무 보를 훼손했다. 주민들은 다시 선택의 기로에 섰다. 장사원 씨는 또다시 전통을 선택했고, 이번에는 한국농어촌공사 문경지사가 시비 4억 원을 들여 본격적인 복원에 나섰다.
새롭게 태어난 ‘화장 대평나무보’는 밤나무 원목 449개와 929㎥의 자연석을 활용해 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엮은 전통 방식 그대로 재현됐다. 길이 45m, 폭 3m, 높이 2.4m의 규모로, 8만여 평의 농지에 물을 공급하는 마을의 생명줄 역할을 다시 이어가고 있다.
□ 주민의 힘, 그리고 미래의 유산
농어촌공사 문경지사 관계자에 따르면 이번 복원 과정에서는 주민 설명회와 현장 점검, 의견 청취가 끊임없이 이어졌다. 그래서 주민의 뜻이 반영된 복원이라는 점이 가장 의미 있다는 평가다.
장사원 씨는 이 나무 보를 “전국에서 유일하게 남은 농업 수리문화의 산 증거”라고 표현한다. 그는 이 시설이 단순한 물길이 아니라, 지역 농경사와 관개기술, 그리고 공동체의 지혜를 보여주는 살아있는 교재라고 믿는다.
□ ‘화장 대평나무보’가 남긴 의미
화장 대평나무보는 단순히 과거를 복원한 시설이 아니다. 그것은 자연과 사람이 공존했던 전통적 지혜의 산물이자, 주민들의 오랜 염원이 담긴 결실이다. 동시에 앞으로의 농업이 나아가야 할 길을 제시하는 생태적 모범 사례이기도 하다.
“우리 마을 나무 보는 앞으로 학계와 관광객 모두에게 주목받는 문화유산이 될 것입니다.” 장사원 씨의 목소리에는 확신이 담겨 있었다.
문경 화장마을의 나무 보. 그것은 300년 전 선조들의 삶을 이어 오늘을 살아 숨 쉬고, 미래 세대에게는 자연과 공존의 길을 일깨워주는 귀중한 유산으로 남을 것이다.
/고성환기자 hihero20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