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지역 새마을금고 4곳 중 1곳이 금융당국의 감독 기준을 초과한 ‘위험 금고’로 드러났다. 특히 부실비율과 연체율 전국 1위를 기록한 금고 역시 모두 대구에서 나온 것으로 확인됐다.
7일 더불어민주당 한병도(전북 익산시을) 의원이 행정안전부 제출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5년 상반기 대구 지역 새마을금고 98곳 중 24곳(24.49%)이 ‘순고정이하여신비율’ 9%를 넘어 위험 금고로 분류됐다. 이는 대구 금고 4곳 중 1곳이 위험군에 포함된 셈이다.
권역별 부실채권 비율에서도 대구는 전국 평균(10.73%)을 웃도는 11.77%로, 전북(15.3%), 부산(13.45%), 경기(11.95%)에 이어 네 번째로 높았다.
대구 특정 금고 2곳의 위험 지표가 전국 최고치를 기록했다. 대구 A금고는 부실비율이 무려 46.68%에 달해 전국 1267개 금고 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 다른 대구 B금고는 연체율 59.27%로 역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집계됐다.
전국적으로 새마을금고 절반에 해당하는 623곳이 금융당국 권고 기준인 ‘고정이하여신비율’ 8%를 초과했으며, 대구의 연체액은 1조 2981억 원으로 경기(3조 8000억 원), 서울(2조 8532억 원)에 이어 세 번째로 많았다.
한병도 의원은 “통합공시시스템 도입이 금고 정상화의 첫 단추라면, 구조개선은 반드시 끼워야 할 두 번째 단추”라며 “정부·중앙회·개별 금고가 합심해 부실채권 정리에 속도를 내야 예금자 신뢰를 되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장은희기자 jange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