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액션플랜은 △혁신 생태계 조성 △범국가적 대전환 △국제적 기여 등 3대 정책축과 12대 전략분야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가 8일 공식 출범했다. 위원회는 국가 인공지능(AI) 정책의 심의·의결, 부처 간 조정, 성과 관리 등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는다.
서울스퀘어에서 열린 제1차 전체회의에서는 새 정부의 AI 전략 청사진인 ‘대한민국 인공지능 행동계획(AI 액션플랜)’ 추진 방향과 국가 AI 컴퓨팅센터 구축 방안, 내년 시행되는 AI 기본법 하위법령 제정 방향 등이 의결됐다.
위원회는 대통령이 위원장을 맡고, 임문영 미래전환 대표가 상근 부위원장을 겸한다. 민간위원 34명이 8개 분과위원회에 배정돼 기술·산업·공공·데이터·사회·국제협력·과학인재·국방안보 등 분야별 전략을 담당한다.
AI 액션플랜은 △혁신 생태계 조성 △범국가적 대전환 △국제적 기여 등 3대 정책축과 12대 전략분야로 구성됐다. 정부는 11월까지 세부 실행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다.
국가 AI 컴퓨팅센터는 ‘AI 고속도로’로 불리는 대규모 인프라 사업이다. 민관 합작 특수목적법인(SPC)을 통해 추진되며, 2028년까지 GPU(그래픽처리장치) 1만5000장, 2030년까지 5만장을 확보해 국내 생태계에 공급한다. 정부는 투자세액공제 확대, 전력계통 신속 처리 등 지원책도 내놓기로 했다.
내년 1월 시행되는 AI 기본법의 하위법령도 논의됐다. 정부는 연구개발·데이터 구축·인재 양성 지원 기준을 명확히 하고, 안전·신뢰 확보 의무 범위를 구체화할 방침이다. 기업의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초기에는 계도기간을 운영해 규제 충격을 완화한다.
임문영 부위원장은 “위원회는 공공의 가치와 민간의 효율을 결합해 속도와 성과를 중시하는 조직으로 운영될 것”이라며 “AI 3대 강국 도약 목표를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