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알렉산더 1세. 나폴레옹 정복전쟁에 위협을 느끼던 러시아는 1812년 본국으로 철군해버렸다. 영국 역시 러시아가 돌아서자 터키를 제압하려던 초심은 간곳없이 슬그머니 발을 빼면서 터키와 휴전을 맺으며 관망 자세로 돌아섰다. 국제사회 냉혹함을 몸소 경험해야 했다. /퍼블릭 제공
세르비아인 최초 공식적인 피의 학살 서막이 열렸다. 역사는 위기 때 영웅을 탄생시킨다. 이제는 단순항쟁이 아니라 반란으로 확장이었다. 하우두크(Hauduk), 즉 튀르키예에 조직적으로 대항하는 반란군을 뜻하는 용어가 생겼다. 예니체리에 대항하는 첫 조직이다. 하지만 가장 큰 피해를 봤던 크네즈를 비롯해 성직자들까지도 농민들을 다독이는데 동참했다.
그러나 농민들 생각은 달랐다. 분노는 예상보다 강했다. 농민들은 그야말로 농기구를 들고 대항했다. 일찌감치 최정예 전투력으로 무장한 예니체리의 상대가 될 수는 없었지만, 물러서지 않았다. 그러면서 과거 전투 경험이 조금이라도 있는 자라면 지도자로 뽑아 그를 중심으로 뭉쳤다.
농민들은 1804년 2월 블랙조지, 세르비아어로 페트로비치 카라조르지예(Petrovic Karadjordje)를 지도자로 뽑았다. 졸지에 블랙조지가 급부상하면서 농민군은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그는 오스트리아군 소속으로 터키와 맞서 싸운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더구나 산발적인 대항에 불과했던 세르비아 농민들을 똘똘 뭉치게 하는 능력이 있었다. 무엇보다 자금을 동원할 수 있었고, 무기 조달과 풍부한 전쟁 경험은 오스만터키에 대한 독립투쟁으로 확산하는 데 성공한다.
세르비아 무신정권이 시작된 지 4년 째, 블랙조지를 중심으로 한 농민군은 곳곳에서 예니체리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기 시작했다. 36세 블랙조지는 일약 스타로 떠오르면서 예니체리의 지도자 다이스 네 명을 공포에 몰아넣었다. 이들은 목숨을 부지하기에 급급했다. 결국 처량한 도망자 신세가 된 다이스를 끝까지 추적해 섬에 숨어 있던 예니체리 지휘관 다이스 목을 베는 데 성공한다.
블랙조지는 농민군 지도자로 우뚝 서며 술탄을 향해 예니체리 해체를 요구했다. 술탄으로서는 씨알도 안 먹히는 말이었다. 술탄으로서는 발칸반도 중앙에 위치한 세르비아의 지리적 이점은 매우 다양했다. 러시아와 오스트리아, 프랑스를 비롯해 도이칠란트 등 서구열강들을 견제할 수 있는 전략적, 지리적으로 매우 중요한 요충지였다.
반대로 국제사회가 바라보는 세르비아 땅은 매우 단순했다. 재빨리 발을 담그면 자신들 차지가 될 것처럼 보였을 법했다. 영국과 러시아가 군침 삼키며 발칸으로 진입하기 시작했다. 이미 이빨 빠진 호랑이 신세가 된 터키제국으로선 도무지 믿기지 않은 표정으로 바라볼 수밖에 없었다. 이때부터 러시아가 터키제국을 끝까지 물고 늘어지게 된 시점이라고 보면 거의 정확할 것이다.
블랙조지는 러시아로 눈을 돌렸다. 때마침 오스만터키가 나폴레옹과의 외교적 우호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러시아가 내민 손을 뿌리치고 외교관계를 거절해버린다. 러시아로서도 방법은 단 하나, 세르비아를 적극적으로 밀어주는 것뿐이었다. 러시아 차르 알렉산더 1세로서는 닭 대신 꿩인 셈이다.
알렉산더 1세는 가장 먼저 농민군 지도자 블랙조지를 자신 편으로 만들었다. 1811년 러시아는 세르비아 농민군을 지원하면서 의회를 설립하고, 블랙조지를 의장으로 선출한다. 러시아와 영국의 뒷배를 믿은 블랙조지는 오스만제국과 전쟁에서 꾸준히 승리를 거두며 중부도시 니쉬를 손에 넣는다.
하지만 나폴레옹 정복전쟁에 위협을 느끼던 러시아는 1812년 본국으로 철군해버렸다. 영국 역시 러시아가 돌아서자 터키를 제압하려던 초심은 간곳없이 슬그머니 발을 빼면서 터키와 휴전을 맺으며 관망 자세로 돌아섰다. 국제사회 냉혹함을 몸소 경험해야 했다. 믿었던 도끼에 발등 찍힌 꼴이 된 블랙조지는 사면초가에 빠지고 말았다.
도망치기에 급급했던 잔존 예니체리는 오스만제국의 힘을 뒷배로 몸을 돌려 재차 반격해오기 시작했다. 예니체리들이 반전에 성공하자, 블랙조지는 독립은커녕 당장 목숨을 부지하기조차 힘에 겨웠다. 예니체리들은 일시에 도나우강을 건너 베오그라드를 점령해버렸다. 두 번째 입성이었다. 다시 권력을 잡은 무슬림과 예니체리의 악정은 이전보다 더욱 심했으며, 농민을 향한 폭력이 기승을 부렸다.
예니체리의 보복은 처절했다. 반란군을 뿌리 뽑겠다며 15세 이상 세르비아 남자들을 잔인하게 도륙한다. 여자와 어린이는 노예로 삼았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혁명군 지도자 블랙조지와 수많은 세르비아인이 베오그라드 도나우강 서쪽지역 제먼이나 노비사드 인근지역으로 몸을 피해야했다.
그러나 세르비아 농민들도 그냥 있지는 않았다. 1815년 짠, 하고 등장한 인물이 세르비아 우쥐째 출신의 밀로쉬 오브레노비치였다. 그는 비록 농민 출신이었으나 전쟁보다 뛰어난 언변으로 타협에 능한, 외교에 탁월한 능력을 발휘한 인물이다. 그 역시 농민항쟁에 몸을 담았던 경력이 있었지만, 재력과 세치 혀로 오스만제국에 충성을 맹세해 처형을 면한 인물이다. 민족의 미래보다 쥐꼬리 권력이 더 중요했던 까닭이다.
인간은 권력의 달콤함을 잊지 못한다. 욕망은 새로운 욕망을 낳는다. 이때부터 세르비아는 블랙조지와 밀로쉬 두 가문과 지지자들이 나눠지면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게 된다.
/박필우 스토리텔링작가